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기록적인 흥행에 중국이 때 아닌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오징어 게임을 합법적으로 볼 수 없는 중국에서도 인기가 이어지자 의류공장들이 수요 공략에 나선 탓이다. 이들은 극중 인물들의 의상에 별다른 드라마 라이센스가 없는 점을 파고들었다.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7일 중국 의류공장들이 국내외로 오징어 게임 의상을 수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CMP는 “오징어 게임 공개 이틀 만에 중국 항저우에 있는 온라인 쇼핑몰들을 중심으로 관련 굿즈가 입고되기 시작했다”면서 “중국 내 온라인 쇼핑몰인 알리바바나 타오바오 외에도 한국의 쿠팡 등에도 납품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항저우에 있는 의류 제조업체 관계자 안나 펑은 “(오징어 게임을) 직접 본 뒤 인기를 직감할 수 있었다”면서 “회사에 드라마에서 나온 의상들을 제작해 달라고 부탁한 뒤 쇼핑몰에 상품을 정식으로 발매했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에서 제작된 의류들은 중국 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영국 한국 등으로 수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유통 전문매체 전상재선(电商在线)에 따르면 오징어 게임 공개 직후 3일 동안 쇼핑몰 한 곳에서만 경비원용 검정색 철제 마스크가 2000여개 팔린 것으로도 알려졌다. 전상재선은 “지금까지 이 매장은 오징어 게임으로만 30만 위안(5570만원)을 벌어들였다”고 전했다.
넷플릭스를 사용할 수 없는 중국에서는 아직 오징어 게임이 정식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그러나 불법 복제나 방화벽 우회(VPN) 등을 이용해 드라마를 시청하는 방법은 중국인들 사이에서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 된 상황이다. 중국 정부는 한국의 사드 배치 이후 한국 영화와 드라마의 신작 유통을 금지하고 있다.
SCMP는 “중국 최대 영화 리뷰 플랫폼인 더우반에서도 오징어 게임의 평점은 7.7점으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면서 “이미 수많은 중국인들이 오징어 게임을 봤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앞서 장하성 주중대사는 지난 6일 국회 국정감사에서 “중국 60여개 사이트에서 오징어 게임이 불법 유통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중국발 미공식 굿즈’의 흥행이 이어지자 넷플릭스는 대응에 나섰다. 넷플릭스는 공식 스토어를 통해 주인공 기훈(이정재 분)이 입었던 456번 티셔츠 등 10개 제품을 출시했다. SCMP는 “항저우에서도 ‘오징어 게임 특수’가 금방 꺼질 줄 예상하고 있었다”면서 “2~3주 정도 특수가 이어진 뒤 주문량이 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