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치료제 중 먹는 형태의 경구용 치료제 등 2만명분을 선구매 계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은 6일 “(치료제) 2만명분을 포함해 이미 확보된 물량이 있고 추가로 협의 중인 물량도 있다”면서 “협의 과정은 비공개가 원칙이며 개발사와 협의해 계약사항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정부가 추가 구매 협상을 벌이는 곳은 미국 제약사 머크앤드컴퍼니(MSD)와 화이자, 스위스 제약사 로슈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4만명분 정도는 예산을 확보해놓은 상태이고 약 2만명분은 이미 선구매 계약을 했다”면서 “머크사가 제일 빠르게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승인 신청을 해놓은 상태이고 국내에도 임상시험 중인 제약회사가 있어 여러 가능성을 다 놓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국내 제약사의 치료제 개발 현황에 대해 “마지막 허가 단계까지 가 있는 곳이 1곳 있고 2상까지 간 곳은 제법 많이 있다”면서 “계속 총력 지원하겠다”고 언급했다.
앞서 MSD는 미국 바이오기업 리지백 바이오테라퓨틱스와 공동으로 개발한 ‘몰누피라비르’의 긴급사용승인을 FDA에 신청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MSD와 협의 과정에서 몰누피라비르 중간 임상시험 결과를 통보받았으며, 이 치료제가 코로나19 확진자 사망률을 줄이는 것과 동시에 변이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점을 확인했다. 1인당 치료제 구매 비용은 90만원이며 정부는 치료제 도입 후 투여 비용을 전액 부담할 방침이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