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대전의 인구가 1년 반만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는 지난달 30일 기준 인구가 전달인 8월 대비 379명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8월에 145만4679명이었던 대전의 인구는 지난달 145만5058명으로 늘었다. 지난해 5월(4월 대비 265명 증가) 이후 1년 4개월여만의 인구 증가다.
대전의 인구는 2012년 충남도의 내포신도시 이전, 세종시 출범 등의 요인이 겹치며 2013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을 기점으로 지역 내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많은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발생하는 등 감소세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번에 대전 인구가 소폭이나마 증가한 것은 충남대·한남대 등 지역 대학과 함께 추진한 대학생 인구늘리기 사업이 큰 효과를 발휘했다는 분석이다.
시는 19개 지역 대학 재학생 13만여명 중 약 50%가 타지역 학생인 점을 감안,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이 대전으로 주소를 이전하도록 각 대학과 협력했다.
학생이 대전으로 주소를 이전할 경우 기숙사 전입 시 단독세대 구성 가능, 주민등록 상 대전에 3년 이상 거주 시 대전시 공무원 시험 응시 가능, 청약통장 가입 등이 가능하다.
특히 2018년 대전이 혁신도시로 지정됨에 따라 대전에 위치한 16개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혜택도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인구늘리기 사업에 참여한 충남대는 48명, 한남대는 16명 등 총 64명의 학생이 각 대학 기숙사로 전입했다.
유성구와 동구의 전체적인 인구도 증가했는데 이는 개강 이후 각 대학별 기숙사·원룸 등을 통한 전입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새롭게 도입되는 ‘대전형 양육기본수당’과 관련해 2세 이하의 전입도 활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타지역에서 세대구성원으로 포함돼 대전으로 전입한 영유아의 수는 총 70명이었다. 17개 시·도 중 13곳에서 전입이 있었으며 지역별로는 서울, 세종, 경기 순으로 많이 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세 이하의 전입과 대전형 양육기본수당과의 연계성 여부는 기간을 두고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시는 설명했다.
임재진 대전시 자치분권국장은 “일시적인 인구증가 현상일 수 있어 좀 더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며 “장기간 계속되던 인구감소에 변화가 있는 만큼 10월 인구 변동 추세를 면밀히 살펴 인구 정책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