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대장동 개발사업을 주도한 화천대유와 천하동인으로부터 50억원을 받기로 했다는 ‘50억 클럽’에 거론된 당사자들이 극구 부인했다. 이들은 야권이 국회의원 면책특권이 적용되는 국정감사장을 활용해 검증되지 않은 루머 수준의 리스트를 사실인 양 공개했다고도 지적했다.
박영수 전 특별검사는 6일 입장을 내고 “저는 화천대유나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로부터 50억원을 받기로 약속하거나 통보받은 일이 결코 없다”면서 “저 자신도 알지 못하는 일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도 없이 면책특권을 방패 삼아 국정감사장에서 발표된 사실에 심히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며칠 전에도 소명한 바와 같이 저는 2016년 12월 특검에 임명된 후 김씨와 연락을 끊었다”고 선을 그으며 “무책임한 폭로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김수남 전 검찰총장도 곧장 입장을 밝혔다. 그는 “박수영 의원의 발언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관련된 발언자와 보도자에게 강력한 민형사상 법적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했다.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최재경 전 검사장도 “황당하고 터무니없는 이야기다. 화천대유에 고문 변호사를 한 일이 없고 사업에 관여한 일, 투자한 일도 없는데 뭣 때문에 거액의 돈을 주겠으며 준다고 명목 없는 돈을 받을 수가 있겠는가”라고 되물으며 “평생 법조인으로 명예를 중시하며 살아왔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검찰과 경찰이 수사하고 있는 만큼 곧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면서 “아무리 국정감사이고 면책특권이 있다 해도 최소한의 확인 절차도 거치지 않은 채 실명을 거론해서 개인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심각한 유감을 표하고 향후 법적인 조치를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날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영학 회계사 녹취록과 복수 제보에 의하면 김만배·유동규·정영학 대화에서 50억원씩 주기로 한 6명의 이름이 나온다”면서 “권순일, 박영수, 곽상도, 김수남, 최재경, 홍모 씨”라고 폭로했다. 그간 정치권 안팎에선 여러 형태의 미확인 리스트가 떠돌았지만 실명이 거론된 것은 처음이다. 유일하게 익명으로 언급된 홍씨는 모경제지 사주를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박 의원은 “(녹취록에는) 50억원은 아니나 성남시의회 의장과 시의원에게도 로비자금이 뿌려졌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중 이미 받은 사람도 있고 약속했으나 대장동 게이트가 터져서 아직 받지 못한 사람도 있다. 급하게 차용증서를 써서 빌렸다고 위장했다가 다시 돌려줬다는 사람도 있고, 빨리 달라고 재촉하는 사람도 있다는 추가 제보도 나왔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50억 클럽 리스트에 관해 “법조계 인사 중에서 언급된 인물들, 민주당과 친분이 있었던 이재명 경기지사와 친분이 있는 인사도 있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당시 이 대표가 귀띔한 리스트가 박 의원이 폭로한 명단과 일치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