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범계 법무부 장관이 대장동 개발 로비·특혜 의혹과 관련해 “(사건 관계인들에게) 광범위한 출국금지 조치가 내려졌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구속)이 재직 당시 쓰던 휴대전화의 확보 여부를 묻는 말에는 “제가 모든 걸 보고받지는 않는다”면서도 “현재까지는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검찰에 따르면 유 전 본부장은 자신의 휴대전화를 판매업자에게 맡겨 놓았다고 주장하면서도 그 업자가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고 있다.
박 장관은 대장동 개발 사업자인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전 머니투데이 기자가 분양대행업체 대표 이모씨에게 100억원을 전달한 의혹에 대해 “수사해야 한다고 본다”고 답했다.
김씨는 화천대유에서 빌린 473억원의 대여금 중 100억원을 박영수 전 특검과 인척 관계인 이씨에게 건넨 것으로 전해졌다.
박 장관은 이씨가 대장동 개발 토목사업을 맡았다는 의혹 등에 대해서는 “핵심적으로 철저하게 규명해야 할 대목임은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야당 측이 주장하는 대장동 의혹 특별검사 구성에 대해서는 수사 개시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회에서 결정할 일이지만 그렇다고 수사를 중단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곽상도 전 의원 아들이 대장동 개발 사업자 화천대유에서 받은 ‘50억 퇴직금’과 관련해서는 “엄중하고 심각하다고 보지만 피해 사실 여부나 지휘는 소상히 말씀드릴 수 없다”고 했다.
대장동 의혹 수사가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고발사주’ 의혹 수사에 비해 촘촘하게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에는 “고발사주 의혹과 대장동 특혜 의혹 사건을 평면적으로 단순 비교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본다”고 답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