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무소속 의원이 위안부 할머니 후원금을 개인적 용도로 쓰지 않았다며 반박에 나섰다. 윤 의원은 고깃집이나 과자 가게, 마사지숍, 교통 과태료 납부 등에 후원금을 쓴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공적 업무나 복리후생 비용에서 합당하게 처리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5일 의원실 페이스북을 통해 “‘위안부 후원금을 빼내 사적 용도로 썼다’는 취지의 보도는 사실이 아니며, 검찰의 공소사실을 확정된 범죄로 치부하며 인신공격을 서슴지 않는 보도에 대해 강력히 항의한다”고 밝혔다.
그는 관련 보도를 한 조선일보를 언급하며 “해당 기사에서 모금한 돈을 제 개인 용도로 쓴 것처럼 주장하나, 언급한 건들은 행사 경비를 비롯한 공적 업무 또는 복리후생 비용으로써 공금으로 회계 처리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일부 개인적 용도의 지출은 모금한 돈이 아닌 제 개인 자금에서 지출된 것”이라는 주장도 덧붙였다.
윤 의원은 “저에 대한 검찰의 공소사실은 엄연히 범죄로 확정되지 않은 것들로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재판을 통해 성실히 소명해 나가고 있다”며 “조선일보가 보도한 내용 역시 앞서의 공판 과정에서 이미 소명한 것”이라고 밝혔다.
윤 의원은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대표와 그 후신인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을 지내면서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중 1억원을 횡령하고, 정부·지자체의 보조금 수억원을 부정수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돼 재판에 넘겨진 상태다.
이날 국회 법사위 소속 국민의힘 전주혜 의원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윤 의원 공소장 범죄일람표에는 윤 의원이 해당 기간 217차례에 걸쳐 총 1억37만원을 횡령한 구체적인 내용이 담겼다.
윤 의원은 후원금이 들어온 체크카드를 사적 이용하거나 후원금을 개인 계좌로 이체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으로는 고깃집과 삼계탕집, 과자점, 마사지숍에서 쓰거나 개인 교통 과태료 납부에 사용한 내역들이 드러났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