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손바닥에 ‘임금 왕(王)’ 글자를 쓰고 토론회에 참석한 걸 가수 이승환이 패러디했다.
이승환은 지난 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수술 부위 통증이 말끔히 사라졌습니다. 덕분에 공연에 더 집중할 수 있었네요. 효험 있음”이라는 글과 함께 사진 한 장을 올렸다.
사진 속 이승환의 왼손에는 반창고가 붙여져 있었고, 그 위에 ‘왕(王)’자가 쓰여 있다. 윤 전 총장의 손바닥 ‘왕(王)’자를 풍자한 것으로 보인다.
윤 전 총장은 지난 1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자 5차 방송토론회에서 손바닥에 ‘왕(王)’자를 적고 나온 모습이 포착됐었다.
윤 전 총장 측은 지지자들이 그려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윤 전 총장 측은 “윤석열 후보와 같은 아파트에 사는 동네 할머니들이 토론회 갈 때 몇 차례 힘 받으라고 손바닥에 적어주신 것에 불과하다. 지지자들의 성원 메시지가 뭐가 문제가 될 게 있겠는가”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의문과 지적을 제기하고 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2일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치러진 부산·울산·경남 지역 순회 경선에서 “(윤 전 총장은) 국민을 위해 가장 봉사해야 할 1번 일꾼인 대통령을 왕으로 생각하는 사람”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주술에 의거한 것인지, ‘왕(王)’자를 써서 부적처럼 들고나오는 황당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경기지사 역시 윤 전 총장의 손바닥 ‘왕(王)’자와 관련해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 생각이 나서 웃었다. 댓글을 재밌게 읽은 것이 있는데 ‘무당’층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더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윤 전 총장이) 답답해서 그랬겠지만, 안 보이는 곳에다 새기지 그랬냐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경쟁 후보인 홍준표 의원은 SNS에서 “대선이 주술(呪術) 대선으로 가고 있다. 가기 싫은 곳을 가거나 말발이 딸릴 때 왼쪽 손바닥에 ‘왕(王)’자를 새기고 가면 극복이 된다는 무속 신앙이 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참 어이없는 일들만 벌어지고 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날 때도 무속인을 데리고 갔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1일 1망언’으로 정치의 격을 떨어트리더니 다음 토론 때는 무슨 부적을 몸에 차고 나올 것인가”라고 했다.
홍 의원은 “(윤 전 총장은) 주술에 의존해 대통령이 되겠다는 것이냐. 대선 경선에 무속인까지 개입하고 이번 대선은 정말 저질 대선으로 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윤 전 총장 측은 무속인 개입이라는 주장에 대해 “무속인은 대개 부적을 쓰지 무슨 손바닥에 왕자를 써주냐. 후보는 토론회에서 손 제스쳐를 많이 쓰고 어차피 화면에 다 나올 수밖에 없는데 무속인에게 부탁해 화면에 다 보이는 손바닥에 쓸 이유가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이예솔 인턴기자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