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가 정보통신기술(ICT) 인재 5만명을 육성한다. 제대 후 취업에 활용 가능한 역량을 키워주겠다는 취지다. 취지 자체는 좋지만 국방을 책임지는 군대가 ‘취업 양성소’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기획재정부는 1일 ‘제7회 재정운용전략위원회’를 통해 군 인력 디지털화와 관련해 향후 5년간 예산 559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내년부터 의무 복무하는 군 장병들에게 복무 기간 중 맞춤형 디지털 교육을 실시하겠다는 계획이다. 2026년까지 5년 동안 5만명의 ICT 정예 요원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초기인 내년에는 2000명으로 시작해 인원을 점점 늘려 2026년에는 한 해에만 2만명을 배출할 예정이다.
기초부터 고급 과정까지 맞춤형 교육을 준비하기로 했다. 기초 단계에서는 초급 수준의 코딩 능력을 키워준다. 이후 딥 러닝 등 중급 과정을 거치면 인공지능(AI) 알고리즘까지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내겠다는 원대한 목표를 내걸었다. 단계 별로 4~5개월 주 평균 4시간 교육을 진행한다. 최종적으로 15개월 과정을 모두 이수하면 AI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구상이다. 전역 후 취·창업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취업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군대가 취업 공부하는 곳이냐’라는 비판만큼은 따라붙을 수밖에 없게 됐다. 여성과의 형평성 역시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안도걸 기재부 2차관은 “인생의 새로운 커리어를 쌓고 미래 취·창업 역량을 높이는 금쪽같은 시간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