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기시다 후미오 전 정무조사회장이 승리하며 새 내각 수립을 앞둔 일본과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9일 기자들에게 “우리 정부는 새로 출범하게 될 일본 내각과 한일 간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위해 계속 협력해 나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양국은 분업과 협력으로 경제성장을 함께 이뤘고 이는 앞으로도 양국이 함께 가야 할 방향”이라며 “대화의 문을 항상 열어두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기시다 신임 총재는 자민당 내 온건파인 보수 본류노선으로 분류된다. 보수 본류는 국수주의, 평화헌법 개헌 등을 주요한 의제로 삼는 보수 방류와는 달리 대미협력외교나 경제성장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일각에서 기시다 신임 총재의 성향을 고려하면 갈등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다만 기시다 신임 총재는 이번 선거에서 보수파의 지지를 얻기 위해 긴급사태 조항 신설, 자위대 명기 등 4가지 항목 개헌을 목표로 하겠다며 보수 성향을 강하게 드러냈다.
지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외무상을 지내며 합의문에 아베 전 총리를 대신해 서명하는 등 역사적 인식에서도 기존 내각과 다른 입장을 보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지난 18일 후보 토론회에서 “(한일 위안부 합의는)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한국이) 이런 것조차 지키지 않으면 미래를 향해 무엇을 약속하더라도 미래가 열리지 않을 것이다. 볼(공)은 한국에 있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결국 취임 직후 코로나19 대응과 중의원 총선거(11월) 등 당면 과제도 산적하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한일 관계가 급진전 되기는 어렵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