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남북 정상회담, 文 정부가 못해도 다음 정부가 하면 돼”

입력 2021-09-29 11:20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연합뉴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9일 “문재인정부 안에서 정상회담이 이뤄지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게 아니다. 현 정부에서 이르지 못해도 다음 정부가 하면 되는 것”이라며 “정부는 임기 마지막까지 그러한 토대를 만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할 뿐이고, 신뢰를 구축하는 문제에 대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수석은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부는 임기 내에 정상회담을 한다, 혹은 다른 무엇을 하겠다는 목표를 정치적으로 설정해놓지 않았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가 주체가 된 종전선언과 한반도 평화 구상이 임기 내에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만큼 청와대가 한반도 비핵화 논의에 신중하게 접근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박 수석은 또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전후해 종전선언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는 “특정한 시점을 놓고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답했다.

한편 박 수석은 전날 북한이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을 ‘극초음속 미사일’이라고 밝힌 것과 관련해 “새로운 미사일이라면 북한은 자신들의 무력 개발 계획에 따라 한 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담화에서 미사일 발사를 위해 미리 ‘이중잣대’라는 포석을 깔아놨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김 부부장의 담화에 대해 파악하고 있다”며 지금 시점에서 북한의 정확한 의도를 단언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국민일보 DB

특히 박 수석은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의 지난 27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연설에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의도가 반영됐다고 해석했다. 김 대사의 연설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20분 뒤에 이뤄졌다. 박 수석은 “김 대사가 ‘미국이 행동과 실천으로 적대 의사가 없다고 보여야 한다’고 밝힌 것을 보면, 김 대사가 미사일 발사 의도를 해석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박 수석은 지난 24~25일 이어진 리태성 북한 외무성 부상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를 열거하며 “북한이 하는 것은 대미, 대남 메시지가 긴밀하게 서로 다 포함돼 있다고 중의적으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북·미 간에 있는 비핵화 협상, 남북 간에 있는 관계개선이라는 ‘투 트랙’이지만 따로 떨어진 게 아니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했다.

박 수석은 북한을 향해서도 대화 테이블 복귀를 촉구했다. 그는 “북한의 담화에 대해서 의미 있다고 평가하며 실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일부에서 군 통신선에 대한 응답을 먼저 북한에게 요구했지 않았나”라며 “그것이 연결돼야 이후 여러 가지 실천방안들을 논의할 수 있다. 통신선 응답이 1차 출발”이라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