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대책 추진

입력 2021-09-29 09:36
인천 송도 G타워 주변.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의 안전한 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천시는 29일 신관 회의실에서 인천경찰청, 인천시교육청, 인천연구원, 인천지역 공유 PM업체 등으로 구성된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관리 TF’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 5월 시, 교육청, 경찰청, 공유 PM업체 9곳과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이용 환경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PM의 안전 관리를 위한 각종 홍보 및 계도활동 등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 8월말 현재 인천지역에는 공유 PM업체 9곳에서 총 9736대의 개인형 이동장치(PM)를 운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번 TF 회의는 최근 PM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이용자들의 무단 방치 및 교통법규 미준수로 각종 사고 발생과 시민 불편이 야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유관기관과 공유 PM업체 간 협력을 통해 안전 운행 및 올바른 이용 문화 조성방안을 마련하고자 개최하게 됐다.

이번 회의에서는 주·정차 금지구역 주차 시 제재 방안, 주·정차 권장구역 및 PM 거치구역 반납 시 인센티브(요금할인 및 쿠폰제공) 제공 등 무단 방치 해소 방안, 무면허·인도 주행·안전모 미착용·2인 탑승 등 교통법규 위반 단속 및 홍보 강화 등 안전 운행 준수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공유 PM업체는 안전모 비치·제공, 안전모 미착용 시 운행 제한 방법 등을 모색해 이용자 안전에 힘쓰고, 가칭 ‘PM 통합민원콜센터’운영을 검토해 무단 방치 근절 등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기로 했다.

시는 지속적인 TF 회의 운영과 협의를 통해 PM 안전운행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김을수 시 교통정책과장은 “최근 전동 킥보드 안전문화 확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만큼 유관기관과 운영업체 간 상호 협력을 통해 이용자와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