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7일 “이제는 개 식용 금지를 신중하게 검토할 때가 되지 않았는가”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상춘재에서 김부겸 국무총리로부터 유기 반려동물 관리체계 개선과 관련해 반려동물 등록률 제고 방안 등을 보고받고 개 식용 문제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실외 사육견 중성화 사업 추진, 위탁 동물보호센터 전수점검 및 관리·감독 강화, 민간 보호시설 신고제 도입, 동물보호관리시스템 내실화 등에 대한 보고도 받았다.
문 대통령은 평소 동물에 대한 애정을 공식적으로 밝혀왔다. 문 대통령은 유기견 토리와 풍산개 마루, 그리고 2018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남북 정상회담 당시 선물한 풍산개 곰이 등을 청와대에서 직접 기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월 설 연휴에 반려동물과 함께 있는 사진을 SNS에 공개했다. 문 대통령은 “다들 나이들이 많다”며 “점점 활동이 줄어들고 있어 안쓰럽다. 시간이 나는 대로 산행도 시켜주고 있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2012년과 2017년 대선 당시 반려견 관련 공약을 발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국무회의에서 동물 진료 분류체계를 표준화하고 진료비 고지를 의무화한 수의사법 개정안이 안건에 오르자 “개와 고양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반려동물의 질병·사고 시 보험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드물고 적정한 치료비가 얼마인지 가늠할 수도 없다”고 했다.
동물보호단체 카라는 지난 2018년 7월 “마루의 친구들을 지켜달라”며 개 식용 금지를 촉구하는 탄원서를 청와대에 전달했다. 같은 해 7월에는 문 대통령의 딸 다혜 씨가 반려견 중 토리를 서울광장에서 열린 개 식용 반대 집회에 데려가 눈길을 끌기도 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주례회동에서 김 총리에게 “단계적 일상 회복의 조기 달성을 위해서는 추석 연휴 이후 확진자 증가 상황의 안정화가 관건”이라며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정부가 방역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또 “확진자 급증에 따른 의료 대응에 지장이 없도록 생활치료센터와 병상 확보 문제를 관계 부처와 지자체가 각별하게 챙겨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추석 연휴 이후 많은 국민이 자발적 코로나19 검사를 통해 방역상황 조기 안정화에 동참하는 것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 문 대통령과 김 총리는 회동에서 백신 2차 접종의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아직 550만명에 달하는 백신 미예약 국민의 참여를 끌어내는 데 총력을 다하기로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