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1위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의 ‘성남 대장지구 의혹’ 리스크가 야당에 옮겨붙었다. 곽상도 국민의힘 의원 아들 곽병채씨가 화천대유로부터 퇴직금 50억원을 받은 사실이 26일 드러나자, 이 지사 측과 여당은 공격 수위를 한층 높였다. 이 지사는 “대가성 뇌물이 의심된다”고 했고, 문재인대통령 아들 준용씨까지 곽 의원을 향해 “아들을 방패막이로 쓰지 말라”며 공세를 퍼부었다.
당초 이 지사 성남시장 재직 당시 개발 특혜 의혹으로 시작했던 대장동 이슈에서 보수 야권 인사들의 이름이 오르내리자, 이 지사와 여권은 역공에 나섰다. 이 지사는 페이스북에 성남시의 완전 공공개발을 막은 대가로 뇌물 50억원을 곽 의원 아들에게 퇴직금 명목으로 줬을 가능성을 거론했다.
이 지사는 “지금 나오는 국민의힘 관련자는 빙산의 일각일 것”이라며 “국민의힘 성남시장이었다면 예정대로 민영개발하고 5500억을 다 해 먹었을 텐데 억울하시냐”고 곽 의원에 따졌다. 특히 “곽 의원은 화천대유가 제 것이라고 해괴한 주장을 하더니, 이제 와서는 50억원이 이재명 설계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한다”며 “나중에 50억원을 받은 사람은 내 아들이 아닌 이재명 아들이라고 하는 것 아니냐”고 조롱했다.
최근 대장동 태스크포스(TF)를 꾸린 이 지사 캠프는 수사를 촉구했다. 캠프 직능총괄본부장 김병욱 의원은 “곽 의원 아들이 받은 50억원의 실체는 토건세력이 이재명 후보의 완전공공개발을 저지한 국민의힘에게 준 대가성 뇌물”이라 주장했다. 김 의원은 “수사기관은 지금 즉시 ‘제3자 뇌물죄’가 아닌지 여부를 수사하라”고 촉구했다.
대장동 의혹을 두고 이 지사와 긴장 관계를 형성해 온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도 거들었다. 이 전 대표는 “50억원은 글로벌 대기업 CEO들의 퇴직금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하는 어마어마한 금액”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명명백백하게 비리의 사슬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동시에 이 지사를 향한 견제도 멈추지 않았다. 캠프 대변인 이병훈 의원은 논평에서 “이재명 후보도 이 사업의 인허가권자이고, 사업의 설계자를 자처한 만큼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민주당도 즉각 논평을 내고 국민의힘을 압박했다. 한준호 원내대변인은 “박근혜정부 시절 민정수석을 지냈던 곽 의원의 직무 관련성에 따른 뇌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한 원내대변인은 국민의힘에 “‘토건비리당’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는 진상조사와 함께 관용 없는 당 차원의 처분을 내리라”고 덧붙였다.
코로나 피해 지원금 문제로 줄곧 곽 의원의 공격 대상이 됐던 준용씨도 페이스북에 비판글을 올렸다. 준용씨는 “자기가 휘두르던 칼이 주목받은 만큼, 또 원한 쌓은 만큼 거대해져서 되돌아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