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대 복합문화시설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내년부터 ‘제2의 도약’에 나선다. 전당장 첫선임과 더불어 아시아문화원을 흡수·통합한 명실상부한 문화발전소로 다시 태어난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26일 “국회 특별법 개정과 책임운영기관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에 따라 10월 초 고위공무원 나급(문체부 국장급) 신임 전당장 공모와 신규 직원 채용을 위한 절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문화전당이 그동안 이원화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아시아문화원과 합친 대규모 기구로 새로 출범한다는 것이다. 어린이 체험·교육시설 운영과 문화관광 상품의 개발·제작 등 수익사업을 전담하는 40명 정원의 문화전당재단도 별도 신설한다.
문화전당은 아시아 각국의 문화·예술 분야 연구와 교류, 문화자원의 수집은 물론 그동안 아시아문화원이 해온 콘텐츠 창·제작, 공연·전시, 자료 보관소 등 공적 기능을 수행한다. 공무직을 제외한 문화전당 정원은 전문임기제 3명·경력직 80여 명을 포함한 125명으로 확정됐다.
전당장과 같은 직급의 기획운영관(민간 문화전문가)을 따로 배치하고 7개 과를 두게 된다.
서류심사와 면접 등을 거쳐 내년 초 선임될 문화전당장을 공모하는 것은 2017년 12월 이후 3년 10개월 만이다. 문화전당은 2015년 11월 개관 직후 2년 동안 5차례나 전당장 공모를 추진했으나 당시 정부의 문화전당 활성화 의지 실종과 함께 적임자마저 마땅치 않아 번번이 무산됐다.
‘수장’을 선임하지 못한 채 ‘전문임기제 4급’ 직무대리 체제가 굳어져 왔다. 이로 인해 '아시아 문화 허브'로 기능하는데 역부족이라는 광주지역 문화·예술·시민단체의 거센 반발을 사왔다.
당초 광주를 아시아문화중심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국립 문화시설로 출범한 문화전당은 준정부 기관(특수법인)으로 동시에 창설된 아시아문화원과 ‘이원화’ ‘중복조직’ 논란에 시달렸다.
핵심업무인 문화콘텐츠 창·제작 업무를 아시아문화원이 맡았으나 공무원 신분의 문화전당 조직이 전당운영의 형식적 주체가 되면서 2개 기관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한마디로 2개 기관이 '옥상옥'의 체제로 제 역할을 하기가 힘든 구조였다.
문화전당 관계자는 “지난 14일 국무회의 의결과 24일 정부 소속 기관 조직 개편을 계기로 대대적 조직개편에 나서게 됐다“며 “연말 안에 선임할 첫 전당장을 중심으로 힘찬 새 출발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