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성추행 피해자 사망 사건 관련 부실수사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공군 수뇌부를 대상으로 청구된 통신영장이 무더기로 기각된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공군 제20전투비행단 성추행 피해자인 고(故) 이모 중사의 사망사건을 수사하는 특임 군 검사는 수사 초기 단계에 공군 수뇌부 3명과 가해자 측 로펌 관계자 2명 등 5명에 대한 통신영장을 청구했다.
통신영장 청구 대상은 이성용 전 공군 참모총장·정상화 전 공군 참모차장(특임검사 활동 당시 현직)·이성복 공군 제20비행단장과 가해자 측 로펌 소속인 예비역 2명이다.
하지만 국방부 보통군사법원은 가해자 측 로펌 관계자 1명을 제외한 나머지 4명에 대한 영장을 기각했다.
이에 센터 측은 “수사 과정에서 공군본부 법무실과 로펌 간 통화가 오간 정황이 확인되어 관련 혐의자들 간 통신 내역을 확보하고자 청구한 영장이 무더기로 기각되면서 군 수뇌부, 공군본부 법무실 등의 부실수사 연루 여부는 진상을 규명할 수 없게 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방부는 특임 군 검사를 임명하며 독립적 수사가 보장된다고 선전했으나, 실제로는 군사법원을 통해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통신영장 청구를 무더기로 기각시켜 수사를 초기 단계부터 무력화시켰다”고 주장했다.
센터 측은 또 “국방부는 사건 핵심 의혹을 규명하는 일을 포기하고 군 수뇌부와 법무 라인을 옹호하는 길을 택했다”며 “성추행 가해자와 주변 사람 몇 명만 처벌하고, 피해자를 죽음으로 몰고 간 구조적 문제는 덮어버리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