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인구 감소의 주 원인은 청년 인구 유출 때문”

입력 2021-09-16 10:32

경북도는 16일 도청 회의실에서 ‘경상북도 인구정책TF’ 신규 시책 보고회를 개최하고 지역 인구 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상북도 인구정책TF’는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도 15개 부서와 경북도교육청, 대구경북연구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총 인구는 처음으로 2만838명이 감소했고, 경북 인구는 2만6414명이나 줄었다.

이에 경북도는 인구 절벽 위기감에 연초부터 인구정책TF팀을 본격 가동하고 있다.
또 민·관 전문가 55명으로 구성된 경북人포럼 등을 통한 지역 인구문제를 공론화하는 등 인구감소 위기 대응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외에도 청춘남녀만남 지원, 분만취약지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영유아 무상보육, 마을 돌봄터 및 공동육아나눔터 확대를 통한 촘촘한 돌봄 환경도 조성했다.

초·중·고 전면 무상급식, 청년근로자 주거비 지원, 청년창업 및 정착 지원 등 결혼·임신·보육·청년일자리·주거지원 등 생애주기별 전 분야에서 다양한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부서별 상반기 추진설적을 점검하고 분야별 내년도 신규시책과 추진전략을 논의했다.

청년일자리 분야 주요 신규시책으로는 청년창업기업의 창업성공률 제고 및 지역 청년일자리 확대를 위해 ‘경북 청년CEO 스케일업 지원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코로나19로 위축된 관광사업체 활성화와 실업률 해소를 위해 ‘관광청년 인턴제 지원 사업’을 시행한다. 또 청년들의 영농 진입장벽을 낮추고 농촌유입 촉진을 위해 ‘청년농업인 농지임대료 50%’를 지원할 계획이다.

문화·복지·정주여건 분야에서는 메타버스 기반 가상 예술 공간인 ‘메타버스 예술플랫폼’을 구축해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대비하고 지역별 주민의 특성을 고려한 ‘주거환경 맞춤형 생활SOC 주택지원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자녀양육 분야에서는 정부의 영아기 집중 투자 정책에 따라 2022년 이후 출생아부터 ‘영아수당 30만원’을 지급하고 2025년에는 5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등 양육의 공적책임을 강화하기로 했다. 놀이중심 돌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온종일 엄마 품 돌봄유치원’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인구구조변화 대응을 위해 생활(관계)인구 개념을 활용한 ‘경상북도 사이버도민 운영’, ‘1시·군-1생활(관계)인구 특화프로젝트’ 운영으로 듀얼라이프 기회도 제공한다.

인구정책 기본조례 개정을 통해 ‘경상북도 인구 주간’을 지정·운영하는 등 청년인구 유출 등 지역 인구 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 및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강성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경북 인구감소의 주 원인은 청년인구 유출이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전부서가 힘을 모으고 있다”며 “앞으로도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위기 극복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