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준성 보냄’ 재차 부인한 손준성 “강력 대응할 것”

입력 2021-09-14 17:35
김진욱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이 14일 오전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출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 사주 의혹 사건 피의자로 입건된 손준성 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 “어떤 경위로 이런 의혹이 발생했는지 도무지 알 수 없다”며 의혹을 재차 부인했다. 공수처는 제보자 조성은씨의 휴대전화에 나타난 ‘손준성 보냄’ 표시가 손 검사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수사 중이다. 공수처는 고발장 최초 작성 경위를 밝히는 데 수사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손 검사는 14일 입장문을 통해 “고발장 및 첨부자료를 김웅 국민의힘 의원에게 전달한 사실이 결코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공수처에서 현재 제기된 국정원장 개입 의혹 등을 포함해 공정하고 형평성 있는 수사를 통해 결백을 밝혀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손 검사는 “공수처가 김 의원에게 고발장을 보낸 사람이 저라고 확인해준 것처럼 언론에 보도되는 등 피의사실 공표행위가 의심된다”며 “강력 대응할 예정”이라고 했다.

공수처는 앞서 조씨로부터 ‘손준성 보냄’으로 표시돼 전달된 고발장의 이미지 파일 등을 제출받았다. 조씨는 해당 자료를 제3자에게 전송할 경우 전송받은 사람이 저장한 손 검사 연락처와 텔레그램 계정이 연동된다고 주장한다. 공수처 관계자는 “손 검사가 전달자인 것처럼 보도되고 있는데 명확한 판단은 수사팀에서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수처는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물품 등 분석을 통해 고발장의 최초 작성자 및 실명 판결문의 유출 경로를 규명할 계획이다. 다만 손 검사 및 김 의원의 휴대전화 등에서 유의미한 증거가 확보되지 않으면 최초 작성 및 전달 경위를 밝히는 작업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손 검사가 고발장을 전달한 것이 맞는다 해도 텔레그램 기능상 김 의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 제3자가 개입했을 가능성도 열려 있다.

공수처는 대검 소속 다른 검사들이 고발장 작성에 관여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고발장이 검찰 외부에서 작성됐을 경우 손 검사에 대한 직권남용 혐의 성립은 어려울 수 있다. 검찰 출신의 한 변호사는 “아직 공수처가 메워야 할 빈 칸이 많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