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4일 최근 제기된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에 대해 “대장동 개발은 지금도 자랑하는 성남시장 시절 최대 치적”이라며 정면 반박했다.
이 지사는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긴급 현안 기자회견을 열어 “단군 이래 최대규모 공익환수사업인 대장동 개발 사업은 민간개발 특혜 사업을 막고 5503억원을 시민 이익으로 환수한 모범적 공익사업”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혜가 아닌 ‘성과’라는 취지다.
이 지사는 “애초 대장동 개발 사업은 2009년 민간 사업자들이 당시 새누리당 소속 지역 국회의원의 동생에게 수억원 대의 뇌물을 주며 ‘공영개발 포기’를 로비했었다”면서 “오히려 2010년 지방선거에서 제가 성남시장으로 당선되며 성남시 공영개발 바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다만 공영개발을 결정한 성남시가 1조원이 넘는 토지매입비를 조달하지 못해 산하기관인 성남도시개발공사가 민간사업자를 공모해 공공 자본과 민간 자본이 함께 투입된 특수목적법인(SPC) ‘성남의뜰’을 신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남의뜰 지분을 가진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에 대해서는 “개발사업을 위해 투자사들이 합의로 신설한 자산관리회사”라면서 “주주와 자회사의 구체적 내역은 투자금융기관만 알 수 있으니 이재명의 것이 아니냐고 하지 말고 금융회사를 취재하라”고 말했다.
개발 과정에서 성남시가 불법적으로 이익을 창출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성남시 환수 이익은 사전확정하고 최우선으로 보장하기로 인허가조건에 명시했다”라면서 “성남시는 돈 한 푼 투자하거나 위험 부담 없이 인허가권 행사만으로 무려 5503억원 상당의 개발이익을 환수했다”고 답했다.
아들을 포함해 이 후보와 가까운 인물들이 회사에 재직 중이란 의혹에는 “자산관리회사의 실제 소유자는 투자사들이 합의해 결정한 것이고 비공개이므로 저로서는 전혀 그 내용을 알 수 없다”면서 “제 아들이 해당 특수목적법인 관련 기업에 취업했다거나 경기주택도시공사 임원이 개발회사 임원이라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는 그러면서 전날 관련 보도를 통해 의혹을 제기한 조선일보에 대해 “언론이 특별히 보호되는 특권을 가지고 가짜뉴스를 만들어 정치적으로 개입하고 특정후보를 공격하고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것은 중범죄행위”라며 “조선일보는 민주당 경선과 대선에서 손을 떼라”고 직격했다.
또 해당 의혹을 처음으로 제기한 장기표 국민의힘 대선 경선 예비후보에 대해서는 “기본과 상식을 벗어난 무책임한 행위에 대해 책임을 묻는 것이 마땅하지만 한때 이 나라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하신 점을 고려해 공개 사과를 하면 더 문제 삼지 않겠다”고 언급했다.
앞서 장 후보는 지난 12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화천대유 계열사인 ‘천화동인1호’에 이 지사 아들이 부당취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이재명 경기지사의 아들이 성남시 대장동 개발을 추진하며 수천억원의 이익을 얻은 화천대유의 계열사에 취직해 있다. 국회가 국정조사를 벌여 개발사업 비리의혹을 명명백백히 파헤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만약 이 지사가 대장동 개발 추진하며 신생 업체로 수의계약으로 사업을 몰아주고, 회사가 수천억원의 이익을 얻은 상황에서 이 지사 아들이 계열사에 취직해있다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