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학생들 기초학력 미달 큰 문제” 교사 10명중 6명 우려

입력 2021-09-14 14:48
전북지역 교원들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의 결과. 전북지역교육연구소 제공.

전북지역 교원 10명 가운데 6명 가까이가 지역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달 문제가 심각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청소년교육문화원 부설 전북지역교육연구소는 전북지역 초·중·고 교원 422명(교사 337명, 교장·교감 85명)을 대상으로 전북교육정책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달에 대해 58.5%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고 14일 밝혔다. 37.4%가 ‘보통’, 4.0%가 ‘심각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일부터 10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이뤄졌고 질문 항목은 12개였다.

응답자들은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시급한 정책에 대해서는 ‘참학력·성장평가 등 현행 교육정책 개선’(34.8%)을 가장 높게 꼽았다. 전북도교육청이 시행 중인 참학력·성장평가에 대한 검토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어 지자체·학부모·지역사회의 관심 확충(22.7%), 방과 후 1:1 맞춤형 수업 강화(22.3%)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원들은 소규모 농어촌학교 현실에 대해서 67.8%가 ‘심각하다’고 봤다. 활성화 방안으로는 36.5%가 ‘인근 도시학교와 연계한 어울림 학교 확대’를 꼽았다. 이어 ‘도시-농촌학교 교류학습 지원하는 행·재정적 지원(27.3%)’, ‘초-중 통합학교를 통한 다 학년제 운영’(23.9%), ‘산촌유학시설 지원’(6.4%) 순이었다.

‘전북 교육행정에서 소통과 협력이 원활한 민주적인 교육행정이 잘 구현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 질문에는 ‘보통이다’가 56.6%,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가 22.7%로 조사됐다.

민주적인 교육행정을 위해 시급히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현장과 동떨어진 교육정책’(39.1%), ‘공문처리 중심의 업무 과중’(36.5%) 순으로 응답했다.

‘전북교육 발전을 위해 가장 시급한 교육정책과 행정은 무엇인가’라는 항목에는 학급당 학생수 감축이 41%로 가장 높았고, 현장 중심의 교육행정 25.8%, 교사의 교육권 강화 24.2% 등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그동안 교육연구소가 전북교육의 정책연구와 대안을 제시해온 기초학력 향상, 소규모 농어촌학교 활성화, 진로교육 활성화 등에 대해 이뤄졌다”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전북교육청의 정책 검토와 개선, 대안 마련을 촉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