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노사가 서울 지하철 총파업 직전에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14일 예고된 총파업 계획도 철회돼 시민 불편 우려도 해소됐다.
노사는 총파업 예고일을 하루 앞둔 13일 오후 3시부터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 대회의실에서 5차 임단현 본교섭을 재개해 8시간30분 만에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총파업을 불과 6시간도 남기지 않은 오후 11시40분쯤 극적인 타결에 이르렀다.
노조는 “핵심 쟁점인 구조조정과 관련해 ‘재정위기를 이유로 강제적 구조조정이 없도록 하고, 노사공동협의체를 구성, 안전 강화 및 재정 여건 개선을 위한 경영 정상화 방안을 진행토록 한다’고 합의점을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가장 쟁점이 된 구조조정과 관련해서는 “공사가 재정위기를 이유로 임금 등의 저하 및 강제적 구조조정이 없도록 한다”고 합의했다.
또 코로나19 등 여파에 따른 재정위기와 관련해서는 노사가 재정정상화를 위해 정부와 서울시에 공익서비스 손실 보전 등을 건의하기로 했다.
아울러 국회의 제도개선과 안전 지원 노력에 부응해 노사공동협의체를 구성하고, 안전 강화 및 재정 여건 개선을 위한 경영 정상화 방안을 진행토록 했다. 심야 연장운행 폐지와 7호선 연장구간 운영권 이관을 추진하고, 이에 따른 근무시간, 인력운영 등에 대해서는 별도로 협의키로 했다.
노조는 “재정위기 해법으로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을 밀어붙인 서울시의 잘못된 정책에 제동을 걸었다”고 자평하며 “이번 노사 간 진통을 계기로 정부와 서울시는 지하철 재정난이 ‘안전과 공공성’ 위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책임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노사 간 진통은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올해 1조6000억원대 적자가 예상됨에 따라 서울교통공사가 대규모 구조조정을 추진한 데 따른 것이다. 공사는 2017년 서울메트로(1~4호선)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 합병 이후 2019년까지 3년 연속 5000억원대 적자를 내다가 코로나19가 덮친 지난해에는 당기순손실 1조1137억원를 기록했다.
이에 사측은 전체 인력의 약 10% 감축, 무급휴가, 희망퇴직 등 인력 구조조정안을 내놨다. 하지만 노조는 대규모 구조조정에 반발하며 파업을 결의했다. 지난달 17~20일 조합원 쟁의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재적인원 1만859명 중 9963명이 참여해 81.6%(8132명)의 찬성률을 기록했다. 노조는 “도시철도에 대한 투자·지원 외면으로 인한 만성적자와 코로나로 가중된 재정위기를 노동자에게 떠넘기는 구조조정”이라며 구조조정 철회, 공익서비스 비용 국비 보전, 청년 신규채용 등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14일 첫차(오전 5시30분)운행부터 파업에 나서기로 했다.
극적 타결로 지하철 총파업에 따른 시민 불편 우려도 해소됐다. 서울시는 앞서 총파업 상황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하고 14일 오전 9시부터 가동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