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검찰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 박지원 국가정보원장과 제보자 조성은씨의 커넥션을 부각시키며 집중 포화를 퍼부었다.
국민의힘과 윤석열캠프는 박 원장을 조씨와 함께 ‘윤석열 죽이기’를 꾸민 공모자로 몰아세웠다. 윤 캠프 총괄실장인 장제원 의원은 국회 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박 원장을 파면시키고 철저한 수사를 지시하라”고 압박했다.
야당은 조씨가 첫 보도가 나온 ‘9월 2일’에 대해 “우리 원장님과 내가 원한 날짜가 아니었다”고 한 발언 등을 근거로 ‘박지원 배후설’을 적극 제기하고 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캠프의 정치공작진상조사특위는 13일 박 원장과 조씨, 두 사람의 8월 11일 만남에 동석한 것으로 추정되는 성명불상자 1명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했다. 특위는 고발장에서 “피고발인들은 윤 전 총장이 대통령에 당선되지 못하도록 공모하고, 인터넷매체 뉴스버스를 통해 허위사실을 유포했다”고 주장했다.
윤 전 총장은 이날 경북 안동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 자리에 동석자가 있었다고 한다”며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하면 신원이 특정되지 않겠나 해서 동석자도 넣은 것”이라고 말했다.
윤 전 총장 캠프는 친여 인사로 채워진 내각으로는 공정선거를 기대할 수 없다며 ‘선거중립내각’ 구성도 요구했다. 캠프 총괄실장인 장제원 의원은 국회 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박 원장을 파면시키고 철저한 수사를 지시하라”며 “박범계 법무부·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 김오수 검찰총장·김진욱 공수처장·김창룡 경찰청장, 정연주 방송통신심의위원장도 즉각 사퇴시키고 중립적 인사로 교체하라”고 촉구했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압박에 나섰다. 이준석 대표는 “8월 11일 전후로 캡처가 이뤄진 정황을 보면 박 원장이 모종의 코칭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강하게 남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씨의 휴대전화 화면 캡처가 최초 시점인 7월 21일 외에 8월 10일과 12일에도 이뤄진 것은 박 원장과의 관련성이 의심된다는 것이다. 김기현 원내대표도 긴급현안보고에서 조씨에 대해 “제2의 윤지오가 나타났다”고 비판했다.
야당은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에서도 박 원장과 조씨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파고들었다.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조씨가 고발장 캡처 자료를 첫 보도 전에 박 원장에게도 직접 전달했다는 의혹, 윤 전 총장이 고발 사주 의혹 관련 기자회견을 한 8일에도 조씨와 박 원장이 만났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김부겸 국무총리는 “금시초문”이라고 답했다.
여당은 박 원장과의 공모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사건 본질을 가리는 물타기라고 일축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최고위회의에서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힘이 사건 진상과는 무관한 공익신고자와 박 원장의 식사자리를 꼬투리 삼아 국정원 개입 운운하는 엉터리 3류소설을 쓰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공수처 수사3부(부장검사 최석규)는 이날 수사처 검사와 수사관 17명을 투입해 김웅 국민의힘 의원실 압수수색을 다시 시도했다. 수사팀은 김 의원 보좌관 PC 등에 고발 사주 의혹 관련 서류가 남아있는지 등을 확인하려 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수처는 지난 10일 김 의원실 압수수색에 나섰지만, 국민의힘 의원들과 11시간 대치 끝에 영장 집행에 실패했었다.
백상진 구승은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