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5월 단체 전 회장 ‘문흥식’ 철저한 수사 촉구

입력 2021-09-13 14:24 수정 2021-09-13 14:50

광주지역의 대표적 5월 단체인 5·18구속부상자회가 13일 문흥식 전 회장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지난 6월 17명의 사상자를 낸 학동 재개발구역 철거건물 붕괴사고를 유발한 책임이 있다면 엄중히 진위를 밝혀야 한다는 것이다.

5·18구속부상자회는 13일 “광주의 5월을 새로 정립해야 한다”며 “문 전 회장을 포함한 핵심 관계자들을 철저히 수사해달라“고 밝혔다.

이 단체는 “문 전 회장의 가짜유공자 논란과 그의 행적에 연관된 불법성은 지속해서 지역사회 공공연한 비밀로 회자해 왔다“고 전제한 뒤 “문 전 회장은 숭고한 광주의 자산인 5·18을 사적 영역으로 만들어 역사의 죄를 짓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광주시민 모두와 후손들이 피해자인 만큼 추후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겠다”며 “구 상무대 영창 법정 현대화 사업을 비롯해 문 전 회장이 과거 추진했던 5·18 선양사업에 대해서도 광주시의 특별 감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18구속부상자회는 “스스로 엄정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국민과 광주시민, 진정한 5월 동지들께 고개 숙여 사죄드린다”고 덧붙였다.

이 단체는 지난 4일 이사회를 열고 문 전 회장에 대한 해임안을 가결시키고 신임 회장으로 조규연 수석부회장을 선출했다.

광주 40여개 시민단체로 꾸려진 ‘학동참사 시민대책위’도 이날 “문흥식에 대한 강도 높고, 성역 없는 수사를 통해 참사의 실체가 규명되기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민대책위는 광주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붕괴 참사의 원인인 철거공사 계약 비리의 중심에 선 문씨가 체포됐다”며 “한 점 의혹 없이 참사 원인을 밝혀야 한다”고 밝혔다.

또 “불법 계약 과정에서 재개발 조합과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의 공모 여부에 대한 수사도 명백히 이뤄져야 한다”며 “문씨에 대한 수사는 학동 재개발사업 비리 전반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 학동 철거건물 붕괴사고 재개발사업 비리에 연루된 이 단체 문 전 회장은 사고 직후인 지난 6월 13일 미국으로 달아났다. 하지만 비자만료가 가까워오자 3개월여 만인 지난 11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했으며 철거업체 선정에 개입해 억대의 돈을 받은 혐의로 공항에서 경찰에 긴급체포됐다.

경찰은 광주서부경찰서 유치장에 입감한 문씨에 대해 13일 중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