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 9일 대선에서 ‘미니 총선’급 재보궐선거가 동시에 치러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정치권이 들썩이고 있다.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서울 서초갑)과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서울 종로)의 사직안이 정기국회에서 처리되면 각각 ‘보수 텃밭’ 서초와 ‘정치 1번지’ 종로에서 여야의 맞대결이 펼쳐진다. 현재 재판 중인 의원을 포함하면 재보궐선거 지역이 최대 5~6곳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국회는 13일 본회의를 열어 윤 의원에 대한 사직안을 상정할 예정이다. 윤 의원은 앞서 부친의 부동산 법령위반 의혹이 나오자 사퇴를 선언했다. 국민의힘이 윤 의원 사직안을 상정하자고 민주당에 요청했고, 민주당이 이에 긍정적인 만큼 표결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의원직 사퇴로 ‘배수의 진’을 친 이 전 대표의 사직안은 당장은 처리될 가능성이 낮다. 민주당 지도부 인사는 12일 “이 전 대표의 사퇴의사가 강해 지도부도 고민하고 있다”며 “다만 사직안은 당장은 처리하기 힘들고, 대선 경선 이후 처리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13일 최고위원회의를 통해 이 전 대표의 사직안 처리 여부 및 시점을 논의할 예정이다.
재보궐 지역이 늘어나 최대 5∼6곳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회계부정 등으로 당선 무효형이 확정된 정정순 민주당 의원(청주 상당)의 지역구는 재보궐선거가 확정된 상태다. 선거법 위반 혐의로 2심에서 당선 무효형을 선고받은 이규민 민주당 의원(경기 안성)과 1심에서 당선 무효형을 받은 무소속 이상직 의원(전북 전주을)의 지역구도 재보궐 가능성이 있다.
재보궐선거 판도는 대선과 같은 ‘박빙 승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민주당 입장에서는 정치적 상징이 큰 종로에서 재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부담이 여전히 높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종로는 차기 대선주자들의 필수코스로 여겨지는 지역구”라며 “정권교체론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종로 재보궐선거는 위험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종로와 서초갑의 차기 후보군 이름이 오르내린다. 민주당에서는 임종석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 이사장, 국민의힘에서는 종로 당협위원장인 정문헌 전 의원과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가 거론된다. 서초갑에서는 윤 의원과 공천에서 경쟁했던 이혜훈 전 의원, 조은희 현 서초구청장, 전옥현 전 자유한국당 당협위원장이 거론된다. 민주당에서는 지난 총선에서 윤 의원에 패배했던 이정근 사무부총장이 언급된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