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7개월 만에 전화통화를 가졌다. 사사건건 충돌하던 예전과 달리 양국 정상은 관계가 정상화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나누며 조심스럽게 대화했다. G2 국가 정상이 조만간 대면회담을 가질 수 있다는 관측도 흘러나온다.
미국 AP통신과 중국 신화통신 등은 9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90여분간 전화통화를 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두 정상의 통화는 지난 2월 바이든 대통령 취임 직후 두 번째다. 미국 CBS는 “중국 당국자들이 미국 당국자들과 대화하지 않으려는 점에 분노한 바이든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직접 통화를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통화에서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세계의 공동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중미가 협력하면 세계에 이익일 것이고 대결하면 모두 피해를 볼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미중 관계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라면서 “오판과 예기치 않는 충돌은 피하되, 관계 정상화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주문했다.
시 주석은 남송시대 육우의 시 ‘유암화명’을 인용하면서 유화적인 메시지를 던졌다. “길이 없을 것이라 생각했던 산길에서 마을을 발견했다”는 구절로, 포기하지 않으면 결국 답을 찾을 수 있다는 메시지다.
바이든 대통령 역시 “미국은 지금까지 ‘하나의 중국’ 정책을 변경할 생각이 없다”고 화답했다. 백악관은 직후 브리핑에서 “두 정상은 경제현안과 기후변화, 코로나19 사태 등 다양한 의제에 대해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면서 “두 정상은 경쟁이 분쟁으로 바뀌지 않도록 하는 책임감에 대해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아프가니스탄 철군 이후 미중관계는 꾸준히 악화일로를 걸어왔다. 지난달 31일 바이든 대통령은 철군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이 가져오는 위협에 대응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중국은 아프간을 장악한 탈레반 등과 교류하면서 세력을 넓혀 왔다. 바이든 대통령이 10월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에게 회담을 제의했지만 중국은 가상으로만 참석하겠다며 회담을 거절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양국이 갈등 국면에서 유화적인 메시지를 낸 것은 일정 부분 서로 협력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양국 정상이 대면회담으로 가는 직전 단계에 다다랐다”고 분석했다. 에반 메데이로스 조지타운대 교수도 “지난 7개월은 미중 모두에게 힘든 시기였다”면서 “이번 전화통화로 대면회담 성사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