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 부인 김건희씨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최근 관련 회사들을 압수수색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이 최근 들어 이 사건 수사에 속도를 내면서 의혹의 정점인 김씨에 대한 소환조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강력수사2부(부장검사 조주연)는 최근 김씨가 연루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에 관여한 업체들을 압수수색했다. 구체적인 압수수색 장소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권오수 도이치모터스 회장실 등 도이치모터스 본사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김씨는 도이치모터스가 2009년 1월 상장한 이후 2010~2011년 권 회장이 주가를 조작하는 과정에 전주(錢主)로 참여해 시세조종을 벌인 의혹을 받고 있다. 경찰 내사 보고서에는 도이치모터스가 2009년 11월 주식시장에서 ‘선수’로 활동하던 이모씨에게 인위적으로 주가를 부양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쓰여 있다. 김씨가 이씨에게 돈을 맡겨 시세조종에 참여했다는 게 의혹의 핵심이다.
김씨는 2012~2013년 도이치모터스 자회사인 도이치파이낸셜의 전환사채를 시세보다 싼 가격에 매입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경찰은 2013년 권 회장의 주가조작 의혹을 내사종결 처리했었다. 금융감독원의 자료 협조가 어려웠고, 제보자 측이 소극적이어서 수사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었다.
검찰 수사는 지난해 4월 최강욱, 황희석 당시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후보 등의 고발로 시작됐다. 법조계에선 검찰이 고발장 접수 이후 1년 6개월가량 수사를 이어오자 “윤 전 총장 사건 처리를 너무 오래 끌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었다.
지지부진하던 수사는 최근 급물살을 탔다. 검찰은 지난 6월 금융감독원을 압수수색해 2013년 권 회장을 지분공시의무 위반 혐의로 조사한 자료를 확보했다. 지난 7월에는 김씨가 계좌를 보유한 증권사 6곳에서 2010년 전후의 도이치모터스 주식 거래내역을 제출받아 분석해왔다. 사실확인을 위해 김씨에 대한 소환조사도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구승은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