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을 시작으로 더불어민주당 지역순회경선 막이 올랐지만 정작 권리당원 투표율은 절반 수준에 그쳤다. 70%를 넘었던 2017년 대선경선 투표율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이를 두고 민주당 지지층 중에 6명의 후보 가운데 누구를 선택할지 결정하지 못한 스윙보터들이 여전히 많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경기지사가 다른 후보들을 큰 격차로 따돌리는 이른바 ‘어후명’ 현상에 타후보 지지자들이 기권표가 무더기로 발생한 것이란 해석도 있다.
9일 민주당에 따르면 지난 4~5일 치러진 충청권 권리당원 경선 투표율은 49.6%에 그쳤다. 충청권 권리당원 선거인단 7만4970명 중 3만7213명만 투표에 나섰다. 나머지 절반은 기권한 셈이다. 권리당원 선거인단은 6회 이상 당비를 납부한 당내 여론 주도층이다. 일반당원에 비해 당내 경선에 대한 관심도 높은 편이다.
절반에 그친 투표율은 2017년 대선 경선 때와 비교해도 확연히 낮다. 당시 경선 투표율은 70%를 상회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탄핵 직후 정권교체 요구가 분출되던 때라 단순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면서도 “이번 충청권 투표율이 통상 투표율에 비해 조금 낮았던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안팎에서는 경선투표에 기권한 절반의 권리당원 중 다수가 스윙보터일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야당의 정권교체론에 맞설 인물로 이 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 중 누가 더 적합할지 결론을 내리지 못한 권리당원이 그만큼 많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에 대해 이 전 대표 역시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권리당원의 절반 이상이 권리를 포기했다는 것이 마음에 걸린다”며 “당 지도부도 깊게 고뇌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었다.
이 지사의 압도적인 여론조사 지지율이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지사가 타후보를 큰 지지율 격차로 따돌리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투표행위가 이런 결과를 크게 바꿀 수 없을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른바 ‘어후명’ 현상이다. 민주당의 한 재선의원은 “상황이 박빙이어야 사람들이 투표장으로 나서는 법”이라며 “이 전 대표 등 타후보 지지자 중 일부는 현 상황에 압도돼 투표를 포기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에서 원인을 찾는 목소리도 있다. 민주당의 한 초선의원은 “현장에서 구름떼처럼 몰린 지지자들 앞에서 유세도 하고 해야 경선 흥행이 되는 건데, 코로나19 시국에 경선을 축제처럼 진행하기도 어렵고, 이런 분위기가 투표율 저하로 이어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경선 초반 다소 가라앉은 분위기가 남은 경선기간에도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실제 7일부터 시작된 대구·경북 권리당원 온라인투표 첫날 투표율은 51.6%로 집계됐다. 충청권 투표 이 지사의 독주에 위기감을 느낀 이낙연·정세균 캠프 등에서 기권표 방지를 위한 적극적인 투표를 호소하고 나선 상황이다. 이 지사 측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재명캠프 관계자는 “아직 초반인 경선이 점점 진행될수록 투표율도 조금씩 오를 것으로 본다”면서도 “충청권에서 확인한 ‘이재명 대세론’을 쉽게 흔들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