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메가시티 경제공동체로 수소경제 주도해야”

입력 2021-09-08 14:55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에 발맞춰 전국의 지자체들이 수소 산업 육성 추진전략을 잇달아 수립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부산·울산·경남은 메가시티 경제공동체 조성의 하나로, 경쟁 대신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은 8일 ‘부산·울산·경남 협력 기반 부산 수소 산업 육성 전략 방향’ 보고서를 통해 부산시가 추진 가능한 수소 경제화 방향을 제시했다.

현재 부산·울산·경남은 수소 산업 육성을 위해 전략과 조직, 실증사업 등을 별도로 추진하고 있다.

울산은 수소 관련 시범도시·클러스터·규제 특구 등 3대 정부 공모사업에 모두 선정됐다. 부산은 수소 선박에 강점이 있으며 경남은 창원에 수소생산기지 거점을 조성하고 있다.

벡스코에 개관한 수소전기하우스. 부산시

H2KOREA(수소용합얼라이언스)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수소 관련 기업 526곳 가운데 동남권에만 131곳이 있다. 이 가운데 수소 생산·저장·운송업체의 경우 10곳 중 4곳이 동남권에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모빌리티 완제품과 안전 분야 기업도 다른 시·도와 비교해 많은 기업 수가 있어, 수소 산업 전 주기에 대한 통합 프로젝트 추진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보고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부·울·경이 항만 수소 모빌리티 개발과 인프라 구축, 실증 등을 공동 추진할 것을 제시했다. 그린수소의 자체 생산 여건 조성과 항만을 통한 그린수소 수입 방안, 수소 전문인력 공급에도 협업해야 한다고 했다. 동남권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부·울·경 전담기구 설립(지정)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부산은 지역이 보유한 핵심 기반시설로서 주변 배후단지 연계와 확산이 가능한 전략적 요충지인 항만 중심의 수소경제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역 주력산업인 자동차부품·조선기자재·기계소재부품 등 주력제조업의 강점을 수소 산업에 접목해 지역 기업이 수소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인력양성 사업 유치와 함께 수소 전문인력 양성의 동남권 허브가 될 수 있도록 지산학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