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 고발 사주 의혹의 전달자로 지목된 김웅 의원이 “보도된 본건 고발장은 저와 전혀 관련이 없다. 해당 의혹에 대한 기억이 없다”며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오락가락 해명 논란에 이어 해당 내용 자체에 전면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사실관계 규명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김 의원은 8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혹이 제기된 4월 3일과 8일) 당시 선거운동에 집중하느라 제게 제보되는 자료를 검토할 시간적 여유조차 없었다”고 밝혔다. 해당 문건을 받았는지, 받아서 전달했는지와 관련한 김 의원 해명이 앞뒤가 안 맞는다는 비판이 일자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주장한 것이다.
김 의원은 ‘오락가락 해명’을 하고 있다는 비판에는 본인이 해당 고발장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설명하다 벌어진 해프닝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뉴스버스 1차 2차 녹취록을 자세히 읽어봐 달라. 특히 2번째에서 보면, 고발장 존재 자체도 모르고 하나인지 두 개인지도 구분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제가 ABC를 말하면 어디는 AB 말하고 어디는 BC를 말해 다르다고 나온 것”이라며 억울해 했다.
앞서 ‘내가 최강욱 의원 고발장을 작성했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선 “보도된 고발장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가 최강욱 의원 관련 문제를 당내에서 최초 제기했다는 점을 밝혔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강욱 의원 관련 문제에 대한 고발장을 작성한 바가 있으나, 언론에 보도된 해당 문건은 본인과 무관하거나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취지다.
김 의원은 윤 전 총장과의 연결고리는 부인하면서도 손준성 검사와 평소 자료를 주고받았는지 또한 기억이 나지 않고,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는 입장이다. 김 의원은 “당시 손 검사에게 ‘대검 안에서 (윤석열) 총장이 외로운 상황이라고 들었다. 너라도 잘 보필하라는 메시지를 보낸 기억은 있다”면서도 자료를 주고받았는지 아닌지에는 ‘기억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초 입장문에서 ‘고발장을 만약 전달받았다고 가정해도 신경 쓰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전달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한편 뉴스버스에 해당 내용을 전달한 제보자와 관련해서는 “공익제보자 신분으로 전환돼 신분을 밝히지는 못한다”며 말을 아끼면서도 “자료를 보면 제 이름이 저장된 게 ‘부장검사’다. 제가 당시 들고 다닌 명함을 준 사람이 누구인지 명확해 제보자가 특정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제보자와 주고받은 자료, 메시지는 전부 기억이 안 난다는 게 김 의원의 주장이다.
김 의원은 해당 의혹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다. 그는 “제게 는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진위는 제보자의 휴대전화와 손모 검사의 PC 등을 기반으로 조사기관에서 철저히 조사해 하루빨리 밝혀달라”고 촉구했다. 동시에 “제가 정치공작에 가담했다는 루머를 퍼뜨리는 세력이 있는데, 이는 명백한 허위사실유포이며 엄중히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