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역할론’ 강조한 청와대…“포용적 사회 만들어”

입력 2021-09-07 16:39 수정 2021-09-07 16:40
청와대 국민청원 유튜브 캡처

청와대는 7일 ‘여성가족부를 해체해야 한다’는 국민청원에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는 포용적 사회환경을 만드는 것이 여가부에게 주어진 역할”이라고 답했다. 앞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여가부 폐지’, ‘여가부 존치·강화’ 등 상반된 주장을 담은 청원이 각각 올라왔다.

류근혁 사회정책비서관은 이날 각각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은 ‘여가부 해체 청원’과 ‘여가부 존치·강화 청원’에 대한 답변에서 “한 사회가 얼마나 강하고 성숙한지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정도로 가늠할 수 있다”면서 “여성, 청소년, 다문화가족, 한부모가족 등 구조적 차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이들을 포함해 우리 공동체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는 포용적 사회환경을 만드는 것이 여가부에게 주어진 역할”이라고 밝혔다.

류 비서관은 질병관리본부가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된 사례를 들며 “정부조직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다. 여가부는 2001년 여성에 대한 차별을 시정하고자 출범했고 현재는 여성뿐 아니라 한부모가족, 학교 밖 청소년 등 취약계층 정책도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에는 디지털 성범죄, 아동 청소년 대상 성범죄 등의 피해자 보호 체계 구축도 맡고 있다”고 강조했다.

여가부 존폐 문제를 두고 국민들이 엇갈린 입장을 낸 것에 대해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여러 이슈에 대한 다양한 의견 표출은 우리 사회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나아가야 할 가치를 찾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면서도 “다만 이런 견해차가 극한 갈등의 양상으로 나타나면 오히려 사회적 논의를 저해한다”고 경계했다.

이어 “여가부 관련 청원은 정부조직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 개진이기도 하고 우리 사회의 이슈를 반영하는 청원이기도 하다”며 “정책에 대한 성찰을 토대로 현장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소통을 강화하고, 사회적 수용성을 고려해 더 세밀하게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청와대 게시판에는 ‘여가부 존치 및 권한 강화’를 주장하는 청원이 올라와 20만7000여명의 동의를 받았고, 비슷한 시기에 ‘여가부를 해체해야 한다’는 청원이 게시돼 26만3000여명의 동의를 받았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