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의 식당과 카페에서 백신 접종자를 포함해 ‘6인 모임’이 가능해졌지만, 백신 인센티브 사각지대에 놓인 자영업자들의 비명은 계속되고 있다. 6일부터 수도권 등 4단계 지역 식당·카페의 매장 영업시간이 기존 오후 9시에서 10시까지로 1시간 연장되고, 일행 중에 백신 접종 완료자 4명이 있으면 6명까지 모일 길이 열렸지만 동시에 인센티브가 적용되지 않는 자영업자들의 상대적 박탈감은 커지고 있다.
서울 관악구에서 노래방을 운영하는 김모(43)씨는 이날 “인원 제한, 영업시간에서 제재가 가장 느슨한 식당·카페도 경영난에 시달리는데 우린 오죽하겠냐”며 “6명이 같이 밥 먹는 건 되고, 노래 부르는 건 안 된다니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인근에서 당구장을 하는 50대 업주도 들쑥날쑥한 지침에 사실상 영업을 포기한 상태다. 그는 “당구장에서 취식을 못 하게 막은 지도 한참 지났는데, 우리는 여전히 (백신) 인센티브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며 “폐업은 홀로 감당할 몫이 돼버렸다”고 말했다.
‘유흥시설’로 분류된 영업장의 시름은 더욱 깊다. 지난해 3월 이후 500일 넘게 영업이 금지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유흥·단란주점, 클럽·나이트, 감성주점, 헌팅포차, 콜라텍·무도장, 홀덤펍·홀덤게임장이 유흥시설로 분류된 곳들이다. 일부 인센티브가 확대되도 이들 영업장에는 영향이 없다. 유흥시설 업주들은 텅 빈 홀을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서울 강서구 한 유흥시설 사장 박모씨는 가게 보증금을 날린 지 오래다. 그렇다고 장사를 아예 접을 수도 없어 임대료와 관리비를 매달 감당하고 있다. 박씨는 “2, 3주가 지나면 집합금지를 풀어줄 것처럼 희망 고문을 당해왔다”며 “문만 안 열었지 언젠가 장사할 날에 대비해 울며 겨자 먹기로 현상 유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드·계좌가 모두 정지돼 신용불량자가 됐지만, 두 자녀를 두고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영업이 중단된 나날을 그는 일용직 근무로 메우고 있다. 직원들도 대부분 신용불량자로 전락했거나, 배달 기사로 일하고 있다고 했다. 한국유흥음식업중앙회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국 유흥시설의 30%가 폐업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영업제한 조치로 인해 자영업자들에게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는 지적은 계속되고 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감염병으로 인한 특수 상황이라 해도 국가가 자영업자의 희생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지나친 공리주의”라고 말했다.
박장군 박민지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