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 방지조항 도입 여부를 놓고 내전 직전까지 갔던 국민의힘 대선주자 간 갈등이 일단 봉합됐다.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내놓은 절충안에 주요 주자들은 수용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세부 문구 조정 등을 놓고 갈등의 뇌관은 여전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은 6일 입장문을 내고 “또 다른 불씨를 안고 있기는 하지만 선관위원 전원의 합의는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유승민 전 의원도 “본인은 선관위의 결정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정홍원 선관위원장의 공정성을 크게 문제 삼던 홍 의원과 유 전 의원이 절충안을 수용하면서 갈등은 진정 분위기에 접어들었다.
선관위는 지난 5일 마라톤 회의를 통해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지 않기로 결정했다. 또 기존 일반 여론조사 100%였던 1차 컷오프에 당원 투표 20%를 반영하기로 수정했고, 본경선 여론조사에서는 ‘본선경쟁력’을 측정하기로 결정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도 선관위 결정을 수용했고, 원희룡 전 제주지사도 “선관위 결정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역선택 방지조항 도입이 결국 저지되면서 홍 의원과 유 전 의원이 갈등 끝에 판정승을 거뒀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들은 명분 있는 역선택 방지조항 도입 반대를 주장해 실리도 챙겼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여론조사 문항의 세부적인 문구를 놓고 또다시 첨예한 캠프 간 대립이 예상된다. 특히 여권 주자와의 1대1 가상대결 방식의 본선경쟁력 문항은 대선 후보 경선에서 도입된 전례가 없다. 전례가 없었던 만큼 각 캠프의 유불리 계산과 수 싸움이 더욱 치열할 전망이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