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꺾이지 않은 가운데 정부가 전국 초·중·고교 등교 수업을 대폭 확대했다. 정부는 등교 확대를 추진해 2학기 내 ‘전면 등교’ 목표를 이룬다는 입장이지만 학교 현장에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6일 교육부에 따르면 부산·대전·경남이 거리두기 단계 조정(4→3단계)으로 전면등교를 시작했다. 대구·광주·울산·세종·강원·충북·전북·전남·경북 등 거리두기 3단계 지역에선 지난달 2학기 시작 시점부터 전면 등교가 허용됐다. 다만 지역·학교 여건에 따라 초3~6학년은 4분의 3, 중·고교 학생 3분의 2 이상이 등교 할 수도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부산의 경우 거리두기 3단계 하향 결정이 지난 3일에 발표됐으므로 전면 등교 준비에 며칠이 걸릴 수 있다”며 “시·도별 학사운영은 교육부의 기준 범위 내에서 운영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이번 주 내로 수도권은 약 67% 등교율을 기록하고 비수도권은 80~90% 등교율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교육부 방침에 따라 이날부터 서울·수도권 등 거리두기 4단계 지역은 초1·2학년과 고등학교 학생이 등교 수업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초3~6학년은 2분의 1 이하, 중학생은 3분의 2 이하로 등교가 가능해졌다. 유치원과 특수학교(급)는 거리두기 단계와 상관없이 2학기 개학 때부터 전면등교를 해왔다.
교육부는 ‘2학기 전면 등교’ 의지를 수차례 드러낸 바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하루 확진자가 1000~2000명대를 넘나들면서 전면 등교 목표를 당장 이루진 못했다. 일각에선 전면 등교가 무산될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이에 교육부는 “2학기 교육 당국 목표는 전면 등교”라며 “이를 위해 등교 확대를 지속해서 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대비 올 1학기 등교율이 50%에서 70%로 늘었다는 점도 강조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 속 등교 확대로 학교 현장에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분위기다. 인천 소재 중등교사 최모(48·여)씨는 “교사는 물론 학부모, 학생들도 등교 수업에 대한 거부감이나 우려가 크지 않은 분위기”라며 “이미 1년 이상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했기 때문에 교육 지원 체계에 대한 걱정도 사라진 상태”라고 전했다.
추석을 앞두고 코로나19 확산세가 더 도드라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학생 수는 1119명이다. 하루평균 160명 정도 수준으로 신규 학생 확진자의 60%는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했다. 이에 교육부는 전국 학교 급식소 98.6%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6개 시도에서 선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학생들 ‘백신 접종’ 시점도 관심이다. 정부는 교육 종사자와 고3 등 대입 수험생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을 이달 초까지 완료할 방침이다. 다만 만 12세부터 17세까지 중·고등학생에 대한 백신 접종 시점은 결론 나지 않았다. 교육부는 “만 12~17세 접종 관련해서는 부처 간 논의 중이지만 결론이 안 났다”며 “논의가 더 구체화되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