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문화전당·문예회관 재도약…정원·직제 가닥

입력 2021-09-06 11:18 수정 2021-09-06 11:25

광주지역의 양대 문화시설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문화예술회관 정원·직제에 관한 가닥이 추려졌다. 광주가 진정한 ‘문화중심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장기적 설계와 재도약을 시작한다.

광주시는 “특별법 개정에 따라 새로 출범하는 문화전당과 문화재단 정원이 각각 125명(공무직 336명)과 40명(공무직 91명)으로 확정됐다”고 6일 밝혔다. 기획재정부의 승인절차를 마친 이 방안은 정부 차관회의에서 ‘책임운영기관법 시행령’을 개정하면 확정된다.

이로써 아시아 최대 문화복합시설인 문화전당은 대대적 조직개편을 통해 아시아문화원(정규직 82명·공무직 153명)을 흡수·통합한 명실상부한 ‘문화발전소’ 위상을 갖추게 됐다.

준정부 기관(특수법인)으로 설립된 후 ‘이원화’ ‘중복조직’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아시아문화원은 문화 콘텐츠 창·제작 등 고유의 역할과 기능을 새로 구성될 문화전당 조직에 넘긴다.

제2기 문화전당은 향후 일원화된 안정적 조직 운영을 통해 아시아 각국의 문화 교류와 문화자원의 수집·연구, 콘텐츠 창·제작, 공연·전시 등 국가적 차원의 문화 역량 강화를 주도하게 된다.

또 신규 조직으로 문을 여는 문화재단은 어린이 체험·교육 시설 운영과 함께 문화관광 상품의 개발·제작 등을 전담한다.

문화전당장 직급은 ‘고급 공무원 나급’으로 현 직급인 ‘전문임기제 4급’에서 수직으로 상승했다. 이와 함께 행정과 문화 전문가의 쌍두마차를 균형 있게 배치하는 차원에서 같은 직급의 민간 기획운영관을 배치하기로 했다.

하지만 그동안 문화전당에서 예산을 지원받아 공연·전시 등을 기획·공급해온 기존 아시아문화원 직원들이 문체부가 문화재단의 ‘정원 내 고용 승계’ 원칙을 고수할 경우 상당수가 실직하거나 문화전당에 들어가기 위해 공무원 시험을 다시 치러야 해 상당한 후유증이 예고된다.

정부 법인 소속이던 아시아문화원 직원이 새 법인으로 출범하는 문화재단으로 자리를 옮길 때는 고용 승계가 되지만 국가공무원 조직인 문화전당으로 옮기려면 반드시 공무원 시험을 다시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존폐 위기에 맞서 올해 들어 집단시위를 벌여온 아시아문화원 직원들은 “전원 고용 승계 약속을 지켜달라”고 요구하는 상황이다.

아시아 문화허브를 기치로 내건 제1기 아시아문화전당은 문화콘텐츠를 창·제작해 공급하는 아시아문화원을 두고 지난 2015년 11월 문을 열었지만 이원화된 조직의 혼선이 끊이지 않아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관장’의 개방형 직위 해제를 두고 광주지역 문화예술계가 반발해온 문화예술회관은 당분간 공무원 책임제로 운영하되 내년부터 다시 개방형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광주시가 300억 원 규모의 리모델링 등 현안의 원활한 마무리를 위해 차기 관장만 내부 공무원에서 발탁해 일정 기간 문예회관을 운영한 뒤 내년 상반기 민간 개방형 관장을 다시 임용하겠다고 한발 물러선 것이다.

애초 시는 지난 2019년 문화·예술 행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공모절차를 거친 문화예술 전문가를 문예회관 최초의 민간인 관장으로 임용했다.

하지만 현 관장이 일신상 이유로 사임하자 내부 논의를 거쳐 후임 관장을 공무원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해 지역 문화예술계와 시민단체로부터 “문화 행정 혁신을 거스른다”는 거센 비판을 받아왔다.

광주시 김준영 문화관광체육실장은 “대표적 문화시설인 문화전당과 문예회관이 큰 틀을 다시 짜게 됐다”며 “문화중심도시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데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