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센티브 필요없다, 영업제한 철폐” 자영업자 시위 예고

입력 2021-09-05 17:18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대위 소속 회원 등이 지난 7월 15일 새벽 서울 종로구 마로니에공원 일대에서 정부의 거리두기 4단계 조치 철회를 요구하는 차량 시위를 벌이고 있다. 경찰은 이를 불법 시위로 판단하고 16일 내사 착수 방침을 정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백신 접종 완료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일부 확대하는 방안을 발표했음에도 자영업자들은 전국적인 차량 시위를 예고하고 나섰다. 오후 10시까지인 영업 제한 조치를 철폐하고, 누적된 영업 손실을 보상해달라는 요구다.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8일 전국적으로 심야 차량시위를 계획하고 있다. 서울, 부산, 광주 등 9곳 주요 도심에서 차량 3000여대가 동시다발적인 1인 시위를 벌이는 방식이 거론된다. 이들은 오후 11시부터 2시간가량 ‘꼬리물기’ ‘경적 울리기’ 등의 차량시위를 통해 다음 달부터 가동되는 손실보상심의위원회에 자영업자, 소상공인의 참여를 보장하도록 요구할 계획이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차량시위 장소나 방법을 문의하는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비대위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자영업자들의 빚은 66조원이 넘고, 45만3000개 매장이 폐업했다.

앞서 비대위는 지난 3일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4주 연장안을 발표하자 “자영업자의 희생만이 강제되고 확산 저지 효과는 실패한 거리두기 정책을 고집하고 있다”며 “한 달 재연장을 공표한 방역 당국은 이를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이들은 정부가 자영업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로 해놓고 업종별 요구사항이나 환경 개선에 대한 고민 없이 일방적으로 연장을 통보했다고 지적했다.

자영업자들의 차량시위는 처음이 아니다. 이들은 지난 7월 14일과 15일 각각 차량 750여대, 300여대가 모인 서울 시위를 개최했다. 지난달 25∼26일에는 부산·경남에서 심야 차량 게릴라 시위를 진행했다. 이로 인해 김기홍 비상대책위 공동대표가 집시법 위반 혐의로 소환 조사를 받기도 했다.

비상대책위 관계자는 “자영업자만 규제하고, 때려잡는 방역수칙을 고집하는 정부에 대한 저항의 표시”라며 “교통체증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오후 11시에 진행하며 감염확산 우려가 없는 1인 차량시위로 목소리를 전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찰 조사의 강도가 더 세질 수도 있지만, 1인 차량시위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 진행하는 합법적 의사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