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군산시 사정동 일대에 건립이 추진 중인 군산전북대병원 규모가 확대될지 주목되고 있다.
군산시와 전북대병원에 따르면 사업 주체인 전북대병원은 최근 3800여 억 원의 군산전북대병원 총사업비를 담은 사업계획서를 주관부처인 교육부에 제출했다. 이는 기존 사업비 1853억 원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기획재정부는 이에 대한 심의를 오는 15∼16일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사업비가 증가된 이유는 10년 전 기재부 타당성 용역을 인정받을 당시 때보다 각종 자재값이나 인건비 등 건축비가 크게 오른 탓이다. 여기에 코로나19와 같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에 적극 대응 할 수 있는 감염병센터 건립 등 기능보강 계획을 반영하고 각종 편의시설 등이 추가된 점도 상승 원인으로 꼽혔다.
그동안 어려움을 겪었던 토지 보상은 100% 완료됐다. 그러나 올해 안으로 시공사 선정과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25년 말 개원한다는 당초 계획은 다소 늦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정부의 사업비 증액 승인 여부가 사업 진척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기재부 심의에서 적정성 결론이 나오면 사업에 탄력이 붙을 수 있으나 부정적인 의견이 제시될 경우 적잖은 차질이 예상된다.
이에 군산시는 정치권 등과의 협조를 통해 중앙부처를 대상으로 국비 증액 필요성과 당위성을 적극 설명하고 있는 상황이다. 황철호 부시장은 지난 1일 기재부를 찾아 군산전북대병원 총사업비 증액의 필요성 등 지역 현안 사업들에 적극 설명하고 국가 예산 확보에 협조를 요청했다.
황 부시장은 “시민들의 귀중한 생명과 직결되는 이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며 “사업이 지연되고 있지만 내년 상반기에는 착공에 들어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군산전북대병원은 사정동 194-1번지 일원 9만 8850㎡부지에 지하 3층·지상 8층 500병상 규모의 종합의료시설을 짓기로 하고 추진되고 있다. 2011년 백석제 인근에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독미나리 등 9종 이상의 멸종 위기 식물 보존을 두고 갈등을 빚다 부지가 변경되면서 사업이 늦어졌다.
군산=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