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롬비아에서 발생한 코로나19 ‘뮤(Mu)’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서도 처음으로 확인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3일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3건의 뮤 변이 해외유입 사례가 확인됐으며, 국내 지역발생 건수는 없다”고 밝혔다.
국내 뮤 변이 감염자 3명은 올해 5월 멕시코, 6월 미국, 7월 콜럼비아에서 각각 들어온 것으로 파악됐다.
멕시코발(發) 입국자는 지난 5월 말, 미국과 콜럼비아발 입국자는 7월 초에 각각 확진 판정을 받았다.
방대본은 “뮤 변이를 포함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해외 입국자에 대한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뮤 변이는 올해 1월 남미 콜롬비아에서 처음 보고됐다. 이후 남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40개국에 퍼졌다. 일본에서도 2명의 뮤 변이 감염자가 확인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앞서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낸 코로나19 주간 보고서에서 콜롬비아에서 처음 보고된 ‘B.1.621’ 변이 바이러스를 뮤 변이로 명명하고 ‘관심 변이’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현재 주요 변이(우려 변이)로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등 4종류가 있다. 그보다 한 단계 낮은 기타 변이(관심 변이)로는 에타, 요타, 카파, 람다에 이어 뮤까지 총 5종류가 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