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청부고발’ 의혹 공방…여권 “정치공작” 尹 “모르는 일”

입력 2021-09-02 17:50

윤석열 전 검찰총장 재직 당시 검찰이 야당에 여권 인사들에 대한 고발을 사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여권은 즉각 “검찰 정치공작”이라고 공세를 펴며 정치 쟁점화했다. 국민의힘 유력 대권주자인 윤 전 총장을 향해서도 집중포화를 퍼부었다. 윤 전 총장 측은 “전혀 모르는 일”이라며 돌발 악재와 선을 그었다. 김오수 검찰총장은 대검 감찰부에 진상조사를 지시했다.

인터넷매체 뉴스버스는 2일 검찰이 제1야당이던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측에 범여권 정치인과 언론인 등에 대한 형사 고발을 사주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지난해 4·15 총선을 앞두고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던 손준성 검사가 야당 김웅 후보(서울 송파갑)에게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최강욱 황희석 열린민주당 비례대표 후보 등 11명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등으로 적시한 고발장을 전달했다는 내용이다. 다만 실제 고발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에 손 검사는 “뉴스버스 기사는 황당한 내용으로, 제가 아는 바가 없어 해명할 내용도 없다”고 부인했다. 손 검사에게 고발장을 전달받은 당사자로 지목된 국민의힘 김웅 의원은 입장문을 통해 “당시 의원실에는 수많은 제보가 있었고, 제보받은 자료는 당연히 당 법률지원단에 전달했다”며 “공익제보를 청부 고발인 것처럼 몰아가는 것은 심히 유감”이라고 말했다. 다만 고발장을 당에 전달한 사실 자체는 부인하지 않았다.


여권은 일제히 파상 공세를 폈다.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는 기자회견을 열어 “검찰이 국가 사정기관의 격을 시정잡배와 다를 바 없는 수준으로 끌어내렸다”며 “국회에서 법사위를 소집해 향후 대응을 논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법무부는 당장 진상 조사에 나서야 한다”며 “국정조사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든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진실을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윤 전 총장을 향해서도 “직접 소명하라. 어물쩍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고 압박했다.

민주당도 논평을 내고 “윤석열 검찰이 정치인과 언론인에 대해 고발을 사주하는 행위가 있었다면 이는 정치공작”이라며 “윤 전 총장의 명확한 해명을 요구한다”고 했다.

고발 대상으로 지목된 정치인들도 강하게 반발했다. 최강욱 대표는 범여권 강성개혁 의원 모임 ‘처럼회’ 명의 입장문을 내 “국회 국정조사와 국정감사로 진실을 밝혀내야 한다”고 요구했다. 황희석 열린민주당 최고위원도 “현직 검찰총장과 검사들의 준반란행위, 정치개입행위, 권력형 범죄”라고 거세게 비난했다.


이에 윤 전 총장 측은 “윤 후보는 전혀 모르는 일이며, 어느 누구에 대해서도 고발을 사주한 바가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반박했다. 또 “대선 후보 경선을 앞두고 윤 후보를 흠집 내려는 음모이자 정치공작의 소산”이라고 역공에 나섰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김 의원 등의 말을 종합해 보면 당에 흔히 들어오는 제보를 이첩하는 것이므로 크게 문제될 것이 없어 보인다”며 “먼저 사실 관계가 확인돼야 입장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주환 강보현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