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밀양나노융합국가산단이 수소연료전지발전소 등 친환경산단으로 조성된다.
경남도와 밀양시, LH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동서발전 등 5개 기관은 2일 밀양나노융합산단 부지 내 변전소, 자재센터, 계통안전화용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수소연료전지발전소 등을 건립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한전은 산단 부지 8만5929㎡를 매입해 ESS와 변전소, 자재센터 건설 등에 3590억 원을 투자하고, 동서발전은 1만6500㎡부지에 1074억 원을 들여 15㎿급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건립하게 된다. 도와 밀양시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행정 지원을, 사업시행자인 LH는 산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토지이용계획 변경 등 필요한 절차 이행을 담당한다.
정부가 세계적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2050 탄소중립 시대’를 선언하고 산업통상자원부는 2040년까지 수소충전소 1500개소 확충 등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가운데 2020년 11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정호 의원의 제안으로 5개 기관의 실무협의체가 구성됐고 심도 깊은 논의를 거쳐 이날 협약에 이르렀다.
2019년 12월 삼양식품이 투자협약을 통해 6만8830㎡부지에 친환경공장을 건립 중인데 이어 이번 협약으로 사용되는 10만2429㎡를 더하면 밀양나노융합산단 1단계 사업 산업시설용지(94만6774㎡) 분양률은 18%(17만1259㎡)를 상회하게 된다.
한전이 건설하는 계통안정화를 위한 ESS는 정부의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것으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로 5만1047㎡부지에 336㎿의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시설이다.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완화·저장, 주파수 조정 등으로 전력계통 신뢰도 유지와 기업의 안정적 제품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산업단지 내 공장 건축물 지붕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사업·지열·풍력발전과 ESS, 그린수소 생산기지를 수소충전소와 융복합 한다면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청정에너지의 생산과 판매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경제 모델이 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밀양나노융합산단의 스마트그린화가 성공한다면 전국 산단 내 수소충전소 보급과 확산에 마중물이 돼 수소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병필 경남지사 권한대행은 “이번 투자가 산단 분양률 제고와 지역경제 활성화, 기업 유치 가속화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밀양나노융합산단이 에너지저감형 친환경산단의 선도적인 모델이 되고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을 통해 좋은 일자리, 특히 청년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