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차 대유행과 거리두기 장기화로 인해 자영업자들의 경영 타격이 커지면서 자영업자 10명 중 4명꼴로 폐업을 고려 중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자영업자들의 ‘줄폐업’이 현실화할 거란 우려가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39.4%가 현재 폐업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음식점, 슈퍼마켓 등의 도·소매업, 교육서비스업, 스포츠·오락시설, 숙박업 등 소상공인 비중이 높고 코로나19 타격이 큰 8개 업종의 대상으로 이뤄졌다.
폐업을 고려 중인 자영업자들은 경영 부진(94.6%)을 가장 주요한 이유로 들었다. 이 중 구체적으로는 매출액 감소(45.0%)를 드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고정비 부담(26.2%), 대출 상환 부담·자금 사정 악화(22.0%)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폐업을 고려 중인 자영업자들의 91.4%가 1년 이내 폐업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자영업자들의 경영상 어려움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폐업을 고려 중이라고 밝힌 자영업자의 33.0%는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예상 폐업 시점을 ‘3개월 이내’라고 응답했다. ‘3∼6개월’이라는 응답은 32.0%에 달했고, 다음으로는 6개월∼1년(26.4%)과 1년∼1년6개월(8.1%) 등 순으로 나타났다. 누적 기준으로는 폐업 고려 중인 자영업자의 91.4%가 1년 이내, 99.5%가 1년 6개월 이내 폐업을 예상하는 셈이다.
4차 대유행 시기를 신규 확진자 수가 1000명을 처음 넘은 7월 6일로 간주했을 때, 자영업자 10명 중 9명(90.0%)은 올해 상반기와 비교해 4차 대유행 이후 월평균 매출액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매출 감소폭은 평균 26.4%였다. 매출에서 원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공과금 등 영업비용을 제한 월평균 순이익 또한 4차 대유행 이전보다 감소했다는 응답이 89.2%였으며, 순이익 평균 감소폭은 25.5%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0.4%는 코로나19 직전(지난해 1월) 대비 대출액이 감소했으나, 39.6%는 코로나19 직전(지난해 1월)보다 대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액이 증가한 자영업자는 임대료와 인건비 등 고정비 지출(49.0%), 기존 대출이자 상환(23.6%), 재료비 지출(16.7%) 등을 대출 증가 이유로 들었다.
자영업자의 자금 사정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지원 방안으로 ‘거리두기 지침에 따른 영업손실 보상 확대’(28.4%)를 요구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료 직접 지원(24.9%), 백신 접종 확대(16.5%), 대출 상환 유예 만기 연장(12.7%) 등 답변이 뒤를 이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