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10명 중 4명’ 폐업 고려…곡소리 나는 가장 큰 원인은

입력 2021-09-01 16:08
8월 26일 오후 광주 서구 광주시청 앞에서 광주자영업비상대책위원회 회원들이 영업제한 방역 지침에 반발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장기화로 큰 타격을 받은 자영업자 10명 중 4명은 현재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1일 나왔다. 이들은 폐업을 고려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매출액 감소’를 꼽았다. 당국의 고강도 거리두기에 자영업자만 죽어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0일부터 약 2주간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했다. 설문이 진행된 시점은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조치가 연장 시행되고 있었다.

해당 조사 결과 응답자의 39.4%가 현재 폐업을 고려 중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10명 중 4명이 폐업을 생각할 정도로 자영업자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을 고려 중인 자영업자의 94.6%가 그 이유를 경영 부진을 이유로 꼽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매출액 감소(45%)가 가장 많았고 고정비 부담(26.2%)과 대출 상환 부담, 자금 사정 악화(22%) 등이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확산세와 당국의 고강도 거리두기 등 현 상황이 지속된다면 1년 이내 폐업을 할 것이라는 자영업자 비중도 10명 중 9명에 달했다.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3명은 자영업자의 자금 사정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부의 정책 지원 방안으로 거리두기 지침에 따른 영업손실 보상 확대를 꼽았다. 이외에 임대료 직접 지원(24.9%), 백신 접종 확대(16.5%), 대출 상환 유예 만기 연장(12.7%) 순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자영업자들은 거리두기 조치 장기화 등으로 그 어느 때보다도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으며 이제는 대출을 통한 자금 확보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면서 “신속한 집단면역 형성과 거리두기 효율화 등으로 자영업자의 어려움을 타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