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기본 보장 복지 경기도’ 6개 정책 전국 최초 추진

입력 2021-09-01 08:54

경기도는 ‘삶의 기본을 보장하는 복지 경기도’를 위해 각종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며 이 중 6개 정책이 전국 최초로 추진한 정책이라고 1일 밝혔다.

일명 ‘코로나 장발장’ 등 기본적인 먹거리가 없어 생계형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막고자 전국 최초로 ‘경기 먹거리 그냥드림 코너’가 지난해 12월 개소했다.

도민 누구나 성남·평택·광명 등 푸드마켓 3개소, 복지관 33개소, 노숙인시설 7개소에서 먹거리와 생필품을 받을 수 있다.

43개소에 매일 800여명이 방문하고 있으며, 정책 공감도가 높아 후원금(품)만 10억5000여만원이 접수됐다.

‘청년기본소득’ ‘군복무 경기청년 상해보험 지원’도 경기도가 광역지방정부 정책으로 최초 추진한 사업이다.

2019년 5월 최초 지급한 청년기본소득은 만 24세 청년에 분기당 25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으로, 분기마다 14만명(신청률 95% 이상) 안팎이 꾸준히 신청하고 있다. 군복무 경기청년 상해보험 지원은 경기도가 2018년 11월 군복무 청년과 가족들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차원에서 도입했다. 보험 보장금액이 상해·질병으로 수술하면 20만원, 상해·질병 사망 시에는 3000만원에 달한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총 보험 수혜금액은 3000여명 31억8000만여원이었다.

지난해 4월 전국 최초로 모집한 ‘경기 극저신용대출’은 저신용 경기도민에게 심사를 거쳐 5년 만기 연 1% 저금리로 최대 300만원까지 대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불법사금융 피해자 대출, 신용위기 청년대출, 생계형 위기자 대출 등 신청자 유형별로 대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까지 총 7만2000여명이 656억여원을 대출받았다.

50~60대의 노후설계, 평생교육, 재취업 등을 지원하는 ‘경기 중장년 행복캠퍼스’는 지난 5월 강남대학교(용인)와 대진대학교(포천)에서 각각 공식 개소했다. 대학교와 협업해 중장년 미래를 위한 종합서비스 공간을 조성한 건 전국 최초다.

경기도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정보 체계(DB) 구축 및 스마트앱 개발을 2019년 전국 최초로 이뤄냈다.

문정희 도 복지국장은 “경기도는 도민들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복지정책을 펼치고 있고, 더 많은 도민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6개 복지정책을 전국 최초로 개발해 추진했다”며 “앞으로도 삶의 기본을 보장하는 복지 경기도 실현을 위해 양질의 정책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