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호 태풍 ‘오마이스’로 큰 피해를 입은 경북 포항시가 피해복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민·관·군까지 총동원해 피해복구에 힘을 쏟고 있지만, 여력이 부족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할 계획이다.
포항시에 따르면 30일 기준 도로, 교량, 하천 등 공공시설이 198건 51억9000여만원의 피해를 입었고 주택, 농경지 침수 등 사유시설은 858건 12억4000여만원이다. 이는 잠정 집계된 것이어서 앞으로 더 늘 수 있다.
지난 24일 3시간 만에 129㎜의 기록적인 폭우가 내린 북구 죽장면에 피해가 집중됐다. 주택 118채가 피해를 보았고 농경지 19.5㏊ 침수, 도로 유실 등으로 피해액은 45억6000여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재민 119세대 233명에 피해면적은 235.74㎢에 달한다.
죽장면의 한 피해 주민은 “하천이 범람해 곳곳의 지형이 바뀔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시는 추가적인 피해조사와 함께 시민들의 빠른 일상 복귀를 위해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우선 응급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역 자생·봉사 단체와 군인, 공무원은 물론 타 지역 봉사단을 포함해 연인원 6000여명과 장비 1만2000여대를 긴급 투입해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피해를 본 1056곳 중 응급복구가 이뤄진 곳은 공공시설 105곳, 사유시설은 497곳으로 전체 복구율은 54%에 불과하다. 자호천, 가사천, 현내천 등 지방하천 복구비만 1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한다.
피해가 광범위하고 일손과 장비 부족 등으로 완전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와 지진피해 지원 등으로 포항시의 예비비와 재난관리기금도 바닥난 상태다.
이에 시는 특별재난지역 지정과 함께 특별교부세 긴급 지원, 국도·국지도 우선 복구 지원 등을 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다.
죽장면의 경우 피해액이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시행령에 따른 우심피해지역(30억원) 및 특별재난지역(읍면동 7.5억원) 선포요건을 충족한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공공시설 피해복구에 국비가 최대 80%까지 지원된다. 피해 주민에게는 건강보험료, 통신, 전기, 도시가스 비용이 1개월 감면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민·관·군이 합심해 피해복구에 나서고 있지만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피해 규모가 크다”면서 “신속하고 항구적인 피해복구를 위해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