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백신접종 통한 유행 억제 효과는 9월 중하순부터”

입력 2021-08-30 00:19 수정 2021-08-30 09:45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현재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를 유지한다면 9월 중하순부턴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통한 유행 억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4차 유행 상황에 대해선 확산세를 다소 억제했지만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언제든 급격한 확진자 증가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2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델타 변이가 우세화되며 6월 말부터 급격하게 증가했던 4차 유행의 확산 추이를 억제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면서도 “감소세로 반전되지 않고 여전히 큰 유행 규모가 유지되고 있기에 아직도 위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기서 자칫 방심하거나 방역 기조가 이완되면 다시 급격한 유행 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며 “일본이나 이스라엘, 미국 등 델타 변이를 맞이한 다른 나라들의 사례를 볼 때 이는 현실적인 위험”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22일부터 28일까지 지난 1주간 하루 평균 국내 발생 환자 수는 1702.6명으로 그 전 주 1750.7명에 비해 48.1명 감소했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환자 수는 212.7명에서 204.9명으로 같은 기간 7.8명 감소했다.

1명의 감염자로부터 전파되는 2차 감염자 평균인 감염재생산지수는 0.99로 직전 주 1.02보다 소폭 하락했다. 감염재생산지수가 1을 초과하면 유행이 확산하고 미만이면 감소하는 것으로 본다.

감염재생산지수가 1 아래로 내려온 건 8월 첫째주(1~7일) 이후 3주 만이다.

7월 12일부터 수도권에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적용하는 등 고강도 방역 조치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예방접종을 통한 유행 억제 효과는 9월 중하순부터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손 반장은 “정체 또는 답보되고 있는 유행수준을 좀 더 확연하게 감소세로 전환시키는 게 가장 중요한 목표”라며 “특히 예방접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의 누적 효과들이 나타날 어느 정도 시점까지 그 기간 유행 규모를 키우지 않고 가급적 감소세로 전환할 수 있으면 가장 좋은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서 현재의 방역기조를 어느 정도 유지할 필요성은 있다”면서 “외국인 노동자 등 취약점이 발생하는 부분들에 대해 선제적으로 관리를 강화하면서 여기에서 유행 증폭이나 확산될 여지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예방접종을 통한 유행 감소 효과가 나타날 시기에 대해 손 반장은 “여러 가지 시뮬레이션 모형상 현재의 방역기조들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선에서는 9월 중하순부터 효과들이 나타날 거라고 하는 예측들이 다수 의견”이라며 “9월 중하순부터 이런 효과들이 좀 더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