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12GW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 가능할까

입력 2021-08-29 17:05
전북 고창 앞바다에 위치한 서남해 해상풍력단지. 한국전력공사 제공

태양광, 육상풍력뿐 아니라 해상풍력의 잠재성이 주목받고 있으나 여전히 국내 조성 현황은 저조한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해상풍력 발전 단지 조성을 국가 기간산업으로서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9일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가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총 12GW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국내 해상풍력 발전 건설 현황은 저조한 수준이다. 최근 10년간 국내에 준공된 해상풍력 발전단지 규모는 3개 단지, 124㎿에 불과하다. 동일한 기간에 전 세계적으로 35GW 용량의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건설됐다.

해상풍력의 잠재성에 대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는 추세다.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에 따르면 대만, 베트남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신규 해상풍력단지 건설 프로젝트가 발표되면서 2030년이면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이 234GW로 지금의 8배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전남 신안군 임자도 서쪽 30㎞ 해상에 한국전력공사, 전남개발공사, SK E&S, 포스코에너지 등이 참여한 총 8.2GW 신안지역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자리할 예정이다. 한전은 전북 부안 해역에도 총 1.2GW 규모의 해상풍력 사업을 개발 중으로, 2030년까지 총 2.8GW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개발 및 운영할 계획이다. 한전은 지난 4월 해상풍력 관련 44개 기업 대표와 ‘해상풍력산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기도 했다.

다만 국내 해상풍력이 자리잡으려면 정부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규제와 주민 민원 등 걸림돌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해상풍력의 경우 태양광과 달리 거대 구조물이 필요해 기간사업에 가깝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정부가 불필요한 규제와 민원들을 과감하게 해소하고 지원해 2030년까지 12GW 이상을 확충해야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