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생활쓰레기 종합대책 추진

입력 2021-08-29 11:43
마을단위 생활쓰레기 공동집하장 모습.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시는 쾌적하고 안전한 클린도시 조성을 위해 생활쓰레기 종합대책을 시행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시는 쓰레기 분리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5월부터 ‘마을단위 생활쓰레기 공동집하장’을 설치했다. 공동집하장은 가로 5.5m·세로 2.5m 크기로 생활쓰레기를 포함해 플라스틱·캔·병 등 10종의 재활용품 분리수거함과 무단투기 감시용 CCTV가 설치돼 있다.

이달까지 농어촌지역과 도심지 단독주택 등 40여곳에 설치했으며, 연말까지 60여곳에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다음 달부터는 공동집하장 설치가 어려운 도심지역에 ‘소규모 공동주택 분리수거대’ 시범 설치사업을 시행한다.

우선 동천동·성건동·선도동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10월까지 각각 50개의 분리수거대를 설치한다. 건물주 또는 입주자 대표가 관리하도록 유도하고 시범운영 후 문제점 등을 보완해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시는 농촌의 골칫거리인 영농폐기물 수거에도 적극 나선다. 올 3월부터 영농폐기물 수집보상금을 인상하고, 한국환경공단이 중단한 폐농약용기류 수거보상금도 예산을 확보해 지급할 계획이다.

자원순환과와 농업유통과로 이원화돼 있는 농촌폐비닐 수거 보상금 지원체계도 내년부터 자원순환과로 일원화한다.
영농폐기물 수거작업 모습. 경주시 제공

불법 생활쓰레기 근절과 올바른 배출문화 조성을 위해 지원·홍보사업도 추진한다.

이달부터 매주 금요일을 ‘환경정비의 날’로 정하고, 환경 취약지 및 다중이용시설 등지에서 올바른 쓰레기 배출방법을 홍보하고 있다. 또 이·통장과 환경미화원들을 ‘쓰레기 불법투기 감시원’으로 위촉해 환경감시 활동을 강화했다.

고정식 감시카메라의 단점을 보완한 이동식 감시카메라를 올 연말까지 64대 추가 설치해 불법투기 감시원들과 함께 주기적인 감시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노인 일자리 창출과 쾌적한 골목길 환경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우리동네 환경지킴이’ 사업도 내년부터 대폭 확대한다. 참여인원을 기존 345명에서 690명으로 늘리고, 사업기간은 8주에서 10주로 연장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생활쓰레기 문제는 시민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생활쓰레기 종합대책 추진이 다른 지자체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