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좀체 꺾일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신규 확진자 수가 50일 넘게 네 자릿수를 이어가고 있다.
지역 내 잠복한 감염이 상당한 데다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까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어 정부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조치로도 확산세가 누그러지지 않는 상황이다.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841명이다. 직전일(1882명)보다 41명 줄면서 이틀째 1800명대로 집계됐다.
이날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 수는 다소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총 1629명으로, 직전일 같은 시간의 1682명보다 53명 적었다.
최근 밤 시간대 확진자 발생 추이를 고려하면 1700명대, 많게는 1800명 안팎에 달할 전망이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211명)부터 52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으며, 이날로 53일째다.
최근 1주간(8.21∼27) 발생한 신규 확진자만 보면 일별로 1877명→1626명→1417명→1508명→2154명→1882명→1841명을 기록해 하루 평균 1758명꼴로 나왔다. 이 가운데 해외유입을 제외한 지역발생 확진자는 일평균 약 1713명이다.
이런 가운데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 경로를 알 수 없는 감염경로 ‘조사중’ 비율도 연일 30%를 웃돌고 있어 추가 확산이 우려된다.
이달 14일부터 전날까지 최근 2주간 방역당국에 신고된 신규 확진자 2만4982명 가운데 8198명(32.8%)은 감염 경로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확진자를 조기에 찾아 감염 고리를 끊어내지 못하면 그만큼 ‘n차 전파’가 일어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정부는 추석 연휴(9.19∼22) 이후 내달 말까지 환자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추석 연휴 특별방역대책 마련에도 착수했다. 오는 31일 이전 발표될 특별방역대책에는 가족모임이나 요양병원·요양시설 면회 허용 여부 등도 담길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 추석과 올해 설 명절 때는 가족 방문을 최대한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고, 특히 올해 설에는 전국적으로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를 적용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이를 언급하면서 “이번 추석의 경우에도 동일한 조치가 필요할지, 혹은 가족 간 모임이나 요양원·요양병원 면회 등을 일부 허용할 필요성이 있을지 등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를 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