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통령선거 경선후보들의 TV토론에서 치열한 공방전이 펼쳐졌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는 ‘무료 변론’을 두고,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이 전 대표는 ‘검찰개혁’을 두고 공격을 주고받았다.
27일 대전MBC에서 충청권 지상파 방송사 6개사 공동주최로 민주당 대선 본경선 5차 TV토론이 진행됐다.
이 전 대표는 이 지사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선거법 위반 소송 등에 참여한 변호사 일부에게 수임료를 지급하지 않은 점을 두고 선공에 나섰다. 이 전 대표는 “본인의 선거법 재판이 3년 걸쳐서 계속됐는데 30명의 호화변호인단이 도왔던 것으로 안다”며 “수임료로 1억원도 안 되는 돈을 썼다는데 맞느냐”고 물었다.
이에 이 지사는 “개인 사생활에 관한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이 전 대표가 재차 답변을 요구하자 이 지사는 “당장 구체적인 금액을 계산하기 어렵다. 1심, 2심, 3심이라 꽤 많이 들어갔다”고 답했다. 그러자 이 전 대표는 “확인을 거부한 것으로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이 지사는 ‘총리 무능론’을 앞세워 반격했다. 그는 “3년 총리를 하시면서 정말로 지방자치나 지역 균형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될 만한 것들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 전 대표는 “그 질문이 나올 것 같았다”며 총리 재임 시절 지역별 숙원 사업 예비타당성 면제 성과를 정리한 문서를 공개했다.
추 전 장관은 이 전 대표가 검찰개혁의 ‘적기’를 놓쳤다고 공격했다. 추 전 장관은 “검찰개혁을 추진할 당시 민생과 개혁이란 이중잣대를 들이댄 정무적 판단 실수로 검찰개혁의 적기를 놓친 점에 대해 사과하고 반성해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이 전 대표를 겨냥해 “너무 자기중심적이고 다른 후보를 무시하는 무례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그러자 이 전 대표는 “자기중심적이란 말을 추 전 장관께 그대로 돌려 드리고 싶다”며 “추-윤 갈등에 대해선 추 전 장관과 당 지도부, 청와대 정무수석까지 수시로 만나 협의했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아실 것”이라고 반격에 나섰다. 그는 “당시 검찰개혁 특위를 구성하자고 제안한 건 김종민 의원이었고 그걸 그대로 수용했다”며 “검찰개혁특위 위원장으로 일한 사람이 윤호중 민주당 원내대표다. 그분들이 충실히 일했다”고 강조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