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의료진 번아웃 해결하라” 보건의료노조 파업 현실화되나

입력 2021-08-27 14:46

보건의료노조가 공공의료 강화와 인력 확충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정부와 막판 협상 중이다. 정부도 4차 유행이 진행 중인 상황인만큼 최대한 협의점을 찾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파업이 현실화되면 코로나19 환자 치료현장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보건의료노조는 27일 오전 11시 서울 영등포구 보건의료노조 지하 생명홀에서 총파업 찬반투표를 가진 결과, 노동쟁의를 신청한 124개 지부에서 노조원 82%가 투표에 참여해 90%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현재 진행 중인 정부와 협상이 결렬될 경우 9월 2일부터 파업에 들어가게 된다. 노조는 “인력 확충과 처우 개선 방안을 확보하고,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과 공공의료 확충을 이뤄내겠다는 노조원들의 간절한 의지가 담겨 있다”고 말했다.

파업시 참여 예상 인원은 5만6000명이다. 보건의료노조에는 국립중앙의료원과 24개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코로나19 전담병원과 서울아산병원, 고대의료원 등 29개 대형병원도 상당수 포함돼 파업에 들어가면 코로나19 진료 업무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다만 응급실과 중환자실, 분만실 등은 필수 인력이 배치될 예정이다.

노조는 코로나19 의료인력의 번아웃 해결과 감염병전문병원 설립, 지방의료원 신축, 지역책임의료기관 확대 등 공공의료 확충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과 관련해 정부는 노조와 막판 의견 조율 중이다. 전날 노조와 보건복지부는 오후 4시부터 오전 3시까지 11시간가량 논의를 이어갔다. 손영래 복지부 대변인은 “상호 간의 입장 차이를 좁힌 부분도 있고 여전히 입장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었다”며 “정부와 보건의료노조는 다시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파업을 최대한 막기 위해 노력하겠으나 파업 사태에도 대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창준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코로나가 대유행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파업으로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 정부나 노조는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면서 “파업 상황이 생길 경우에 대비해 중앙 차원,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비상진료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