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출마를 선언한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이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이 K-방역 홍보를 위해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병사들의 건강과 안전을 걸고 사실상 생체실험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일부 군부대가 ‘마스크 벗기’를 추진하도록 지시한 사람이 문재인 대통령이라는 것이다.
하 의원은 27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 대통령이 지난 4일 청와대에서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에서 이같이 지시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문 대통령은 ‘집단면역의 효과, 변이 대응성, 치명률 등에 대한 관찰과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시범사례이자 연구사례가 될 수 있으니 방역 당국과 협의하여 추진하라’고 전군 지휘관들에게 지시했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쉽게 말해 백신을 맞은 병사들이 마스크를 벗으면 변이 바이러스에 다시 걸리는지 아닌지(변이 대응성), 죽는지 아닌지(치명률) 어떻게 되는지 관찰하여 시범사례로 삼으라는 이야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 의원 측은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제보받은 ‘8·4 청와대 전군지휘관 회의 보고 지시사항’ 문건을 근거로 들었다. 또 회의 당일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의 브리핑 내용도 해당 지시의 존재를 간접 확인해준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요양병원 등을 제외하고는 군이 최초의 집단면역 달성 사례가 되므로 일반 국민이 집단면역에 도달할 때 군의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하 의원은 “문 대통령에게 요구한다. 8·4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에서 있었던 ‘노마스크 실험 지시’의 전모를 단 한 글자의 왜곡과 은폐 없이 공개하시기 바란다. 이 같은 의혹이 사실이라면 즉각 국민과 전군 장병들에게 대통령이 직접 사죄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공문 등 여러 자료를 검토 중이나 현재까지 ‘실험’이나 ‘테스트’ 같은 내용을 찾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집단면역 형성 시 선제적으로 방역 완화 방안을 검토하자는 문구, 또 시범사업이나 시범 부대 선정 등의 표현이 있는데 이는 단계적 완화 방안을 검토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국방부는 26일 병영 내 활동에 한해 방역지침을 일부 완화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병 대상 예방접종 완료율이 94%인 점을 고려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현재 전체 장병 55만명 중 52만명이 2차 접종을 완료했으며, 완료 시점으로부터 2주가 지났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