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매년 심각해지는 바다 오염 문제와 관련해 해양쓰레기 정책 심의·자문 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제주는 대만을 통과한 쿠로시오 해류가 우리나라로 유입될 때 가장 먼저 통과하는 지역이다. 도는 2017년 전국에서 가장 먼저 상시 해양 청소 인력을 갖춘 데 이어, 부서 간 협력과 외부 전문가 자문을 통해 해양쓰레기 문제에 더욱 내실 있게 대응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제주도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바다 쓰레기가 환경과 생태, 제주의 관광산업에 악영향을 미침에 따라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구성한다고 26일 밝혔다.
위원회는 ‘제주도 해양 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에 근거한 것으로 정무부지사를 위원장으로 제주도 해양·환경·하천 담당 부서장과 민간 전문가 7명 등 12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해양 쓰레기 관리 시행 계획과 청정바다지킴이 운영 등 제주도의 해양 쓰레기 발생, 유입, 방제, 저감, 처리 등 주요 정책에 대해 심의·자문 역할을 맡게 된다.
제주는 대만을 통과한 쿠로시오 해류가 우리나라로 유입될 때 가장 먼저 통과하는 지역으로 매년 해양 쓰레기와 전쟁을 치르고 있다. 특히 제주는 사면이 바다로 마을 해안선마다 밀려 드는 쓰레기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다.
바다에 둥둥 떠다니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가장 많고, 괭생이모자반처럼 동중국해에서 떠내려와 제주 해안에 도달하는 외국 기인 쓰레기와 연근해 어업 활동 과정에서 유실되거나 버려진 쓰레기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발생량에 대한 정확한 측정 결과가 없는 가운데 제주지역 해양 쓰레기 수거량은 2013년 8200t에서 2020년 1만6000t으로 매년 9~10%씩 늘고 있다. 쓰레기 수거·처리 비용도 2016년 31억원에서 지난해 75억원으로 갑절 이상 증가했다.
이에 제주도는 지난 2017년 전국에서 가장 먼저 상시 해양 쓰레기 수거 인력(청정바다지킴이)을 배치, 연중 수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어 이번 해양 쓰레기 정책심의위원회 신설로 부서 간 협력을 강화하고 도정 정책을 민간 전문가의 시각에서 한층 보완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좌임철 해양산업과장은 “제주의 해양 쓰레기 정책은 제주는 물론 우리나라 바다를 가장 먼저 깨끗이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며 “육상 쓰레기와 달리 수거와 처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만큼 위원회 운영을 통해 더욱 내실있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